공매도 재개에 내 주식 출렁일까...'유통주식 대비 대차잔고 증가분' 큰 곳 어디?
대차잔고 한달새 10% 가까이 증가
이달 31일 공매도 전면 재개를 앞두고 3월 들어 대차잔고가 크게 늘어난 종목에 대해 이목이 쏠리고 있다.
유통 주식 가운데 대차잔고 증가분의 비중이 클수록 공매도 재개 이후 주가 변동성이 커질 것이란 예상이 나오면서, 이와 관련한 종목으로 포스코퓨처엠, 한미반도체, HD현대중공업, HD현대미포, 에코프로머티, LG에너지솔루션의 주가 향방에 관심이 커진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 것을 예상해 갖고 있지 않은 주식을 빌려서 팔았다가 주가가 내려가면 싸게 사서 갚아 이익을 내는 투자 기법이다. 대차잔고는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려온 뒤 아직 갚지 않은 물량을 뜻한다. 국내는 무차입 공매도가 금지돼 있어 공매도를 위해서는 대차거래가 필수다.
다만, 대차거래의 차입자는 차입한 주식으로 시장에서 매도하는 공매도 뿐 아니라 매매거래의 결제, 차익 해지거래 등 다양한 투자전략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이에 대차거래 잔고는 공매도의 선행지표 정도로 여겨지긴 하지만, 추후 발생할 공매도 예정수량과 100% 상관 관계를 갖고 있지는 않다는 점도 염두해야 한다.
23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21일 기준 코스피(유가증권 시장)·코스닥 주식대차 대차잔고 금액은 55조950억원으로 2월말 48조1570억원 대비 10% 가까이 급증했다. 대차잔고는 지난해 12월말 46조460억원에서 올해 들어 꾸준히 증가했다. 공매도 재개를 앞두고 기관투자자들이 차입물량 확보를 늘려온 것으로 해석된다.
삼성증권이 한국예탁결제원의 주식대차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달 들어 20일까지 2600여개 종목에서 대차거래가 진행됐다. 이 가운데 삼성증권이 KRX TMI(Total Market Index) 구성종목으로 선별해 분석한 결과, KRX TMI 규모별 지수 중대형 지수에는 717개 종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TMI 소형 지수에는 983개 종목에서 이달 대차거래가 발생했다.
KRX TMI는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보통주 중 지수 투자에 적격한 종목들을 유동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산출하는 시황 지수다.
이 가운데 코스피 대형주 가운데 유동주식 대비 최근 대차잔고 증가물량이 많은 종목들을 보면, 2차전지와 조선 및 방산, 전력 인프라 관련 기업이 다수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동주식 가운데 대차잔고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클 수록 차입한 투자자가 실제 공매도에 나설 경우 주가 변동성이 심할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다.
대차잔고 증가분이 전체 유동주식의 4%를 웃돈 종목들을 살펴보면 포스코퓨처엠(7.7%), 한미반도체(6.9%) HD현대중공업(5.1%), HD현대미포(4.6%), 에코프로머티(4.2%), LG에너지솔루션(4.2%) 등이다. 이어 두산(3.2%), 한화오션(2.7%), 효성중공업(2.4%), 아모레퍼시픽(2.2%), 두산로보틱스(2.0%) 등도 유동주식에서 대차잔고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종목으로 꼽혔다.
코스피 중형주에서는 반도체와 2차전지, 조선주와 제약/바이오, 소비재 등에서 대차잔고가 증가했다. 또한 지주사 관련 종목의 대차잔고 증가도 주목된다고 삼성증권은 짚었다. 종목별로는 이수페타시스가 대차잔고 증가분이 유동주식 대비 4.6%를 차지했고, 이어 전진건설로봇(3.6%), 현대위아(3.5%), 더블유게임즈(3.3%), KG모빌리티(3.0%), 엘앤에프(2.2%) 등도 이 수치가 높은 종목으로 꼽혔다.
코스닥 중형주에서는 반도체 소부장과 신재생에너지, 필수/자유소비재 등에서 대차잔고가 증가했다. 코스닥중형주 가운데 전체 유동주식 중 대차잔고 증가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종목은 하이비젼시스템(2.7%), 에프에스티(1.6%), 지아이이노베이션(1.5%), 넥스트바이오메디컬(1.4%) 등이다.
증권가는 대차잔고 금액이 늘었다고 반드시 공매도가 몰리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 대부분 공매도 금지 전에 공매도가 활발했기에 공매도 재개 이후에도 활발해질 가능성이 크다는 시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공매도를 금지하기 전 코스피 업종별 대차잔고 기준 호텔·레저, 화학 등 잔고가 높았다는 점에서 이들 업종의 공매도 비중이 향후 늘어날 가능성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