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금융권과 부실 PF 경·공매 활성화 나선다…23일 매각 설명회 개최

금융권‧건설업계 협회‧회원사 관계자 참석 “매도자-매수자 간 효율적 정보 공유 취지”

2025-01-17     강예슬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4구역 일대. 출처=연합뉴스

금융당국과 금융권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사업장 정리 속도를 높이기 위해 힘을 모은다.

17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오는 23일 저축은행중앙회에서 부실 PF 사업장에 대한 시장 자율 매각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전 금융권 합동 매각 설명회’를 연다.

설명회에는 금융위원회와 은행연합회, 저축은행·농협·새마을금고·신협중앙회와 금융투자협회 등 금융권 협회, 대한건설협회‧한국주택협회‧대한주택건설협회‧한국부동산개발협회 등 건설업 협회 관계자와 소속 회원사 등이 참석한다.

설명회를 통해 금융당국은 부실 PF 사업장의 매도자와 잠재 매수자가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각 업권별 협회와 부동산 PF 경‧공매 활성화를 위해 PF 물건의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을 구축하고 서비스 시작을 앞둔 상태다. 경‧공매 대상 PF 사업장의 위치, 부지 크기와 건축 면적, 감정가, 사업장별 권리관계, 연락처 등 매물 정보 등을 공개해 잠재 매수자가 관련 정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오는 23일 설명회에는 이복현 금감원장도 참석할 예정이다. PF 정보 공유 플랫폼 조성과 설명회는 이 원장의 제안에서 시작돼 이 원장이 직접 설명회에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전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원장은 지난 16일 열린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부실 부동산 PF에 고착된 자금이 생산적인 분야로 흐를 수 있도록 부실 정리 실적이 미진한 금융사에 추가 충당금 적립 및 현장 점검을 하라고 지시했다.

그는 “부실 채권 경·공매가 더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매각자와 수요자 간 정보 비대칭을 해소해 신속히 정리할 방안을 마련하라”고 당부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6월 1·2차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를 실시하고 유의(C)와 부실우려(D) 등급을 받는 등 사업성이 떨어지는 사업장에 대해선 경·공매와 상각 등 정리에 나설 것을 주문했다. 작년 12월에는 후속 조치인 부동산 PF 정리·재구조화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달 19일 금감원이 발표한 ‘부동산 PF 2차 사업성 평가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금융권이 보유한 부동산 관련 위험노출액(익스포저) 210조4000억원 중 유의·부실우려 등급 대출 규모는 전체의 10.9% 정도는 22조9000억원(10.9%)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에 따르면 작년 10월 말 기준 4조5000억원 규모의 부실 사업장이 정리됐다. 전체 계획 물량의 21.4%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까지 9조3000억원(44.5%)의 익스포저를 모두 정리·재구조화한 상태다. 올해 상반기까지는 16조2000억원(77.5%)을 구조조정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