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품질 SKT는 전국, KT는 서울서 1등 먹었다...LG유플도 '탄탄'
2024년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2024년 국내 이동통신 3사(SK텔레콤, KT, LG유플러스)를 대상으로 진행된 통신서비스 품질평가에서 5G와 LTE 서비스 품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30일 나타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한 이번 평가 결과에 따르면, 5G 다운로드 평균 속도는 1025.52Mbps로 전년(939.14Mbps) 대비 9.2% 향상되며 글로벌 최고 수준의 성능을 유지했다.
5G 품질평가는 전국 400개 지역과 주요 시설을 포함한 광범위한 테스트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도시와 농어촌 간의 성능 차이와 주요 시설의 접속 가능성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5G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SK텔레콤이 1064.54Mbps로 가장 빠르게 나타났으며, KT는 1055.75Mbps, LG유플러스는 956.26Mbps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대비 SK텔레콤은 77.00Mbps, KT는 106.87Mbps, LG유플러스는 75.26Mbps 속도가 증가했다. 특히 KT는 서울과 부산에서 SK텔레콤보다 빠른 속도를 기록하며 지역별 성능 격차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서울에서는 KT가 평균 1170.07Mbps로 SK텔레콤(1169.84Mbps)을 소폭 앞섰다.
인천에서는 LG유플러스가 1284.32Mbps의 속도로 3사 중 가장 높은 성능을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대도시(서울 및 6대 광역시)의 평균 속도는 1121.54Mbps로 중소도시(1101.53Mbps)와 큰 차이가 없었지만, 농어촌(645.70Mbps) 지역과의 격차는 여전히 컸다. 2021년부터 통신 3사가 추진한 농어촌 지역 5G 공동망 구축 계획으로 커버리지는 확장되었지만, 실질적인 속도 개선은 여전히 부족했다는 설명이다.
또 400개 점검 지역 중 품질 미흡 지역은 평균 8.3곳으로 나타났으며, LG유플러스가 12곳, KT가 7곳, SK텔레콤이 6곳으로 분포했다. 모든 품질 미흡 지역은 KTX와 SRT 고속철도 구간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이동 중 연결성 유지와 품질 개선이 필요한 구간임을 시사한다.
LTE 서비스는 평균 다운로드 속도가 178.05Mbps로 전년 대비 0.49% 감소했다. 통신사별로는 SK텔레콤이 238.49Mbps로 가장 빠른 성능을 기록했으며, KT는 166.81Mbps, LG유플러스는 128.85Mbps로 나타났다. LTE 품질 미흡 지역은 평균 3곳으로 모두 고속철도 구간에서 발생했다.
도시 유형별로는 대도시가 평균 214.64Mbps로 가장 빠른 성능을 보였으며, 중소도시는 201.97Mbps, 농어촌은 119.96Mbps로 확인되었다. LTE 역시 5G와 마찬가지로 도시와 농어촌 간의 격차가 여전히 존재했다.
와이파이 테스트도 나왔다. 상용 와이파이의 평균 다운로드 속도는 374.89Mbps로 나타났으며, KT가 11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KT는 평균 544Mbps로 SK텔레콤(313Mbps)과 LG유플러스(258Mbps)를 크게 앞질렀다. 개방 와이파이와 공공 와이파이에서도 각각 415.02Mbps와 463.55Mbps로 전년 대비 성능이 개선되었다.
지하철에서의 와이파이 성능은 SK텔레콤이 평균 70Mbps로 KT(60Mbps)와 LG유플러스(56Mbps)를 웃돌았다. 한편, 와이파이 이용 실패율은 통신사별로 SK텔레콤이 17곳, KT가 31곳, LG유플러스가 30곳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평가에서 확인된 국내 5G 다운로드 속도는 해외 주요 7개국의 평균 속도(331.21Mbps)보다 3배 이상 빨랐다. 노르웨이(584.14Mbps)와 비교해도 약 1.8배 높은 수준으로 조사되며, 우리나라의 통신 품질이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했다.
이도규 과기정통부 통신정책관은 “이번 평가는 5G 전국망이 완성된 첫 해 발표된 품질평가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며 “이용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품질 개선을 위해 지속적인 투자와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