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대통령 "대구경북 신공항 차질없이 추진해 2030년 개항"

대구서 첫 민생토론회…"광역급행철도 등 연계 고속교통망도 확충"

2024-03-04     김경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4일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에서 '첨단 신산업으로 우뚝 솟는 대구'를 주제로 열린 열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출처=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4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은 대선 때 여러분께 드린 약속”이라며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을 차질없이 추진해 2030년 개항할 수 있도록 해 대구 교통망 혁신에 기폭제로 만들겠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대구 경북대에서 '첨단 신산업으로 우뚝 솟는 대구'를 주제로 16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고 "대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서는 오래된 산업구조 혁신과 낡은 교통 인프라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약속했다.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은 대구 도심의 K-2 군공항과 대구국제공항을 대구 군위군과 경북 의성군 일대로 이전하는 사업으로, 민간·군공항을 통합 이전하는 국내 첫 사례다. 군 공항은 16.9㎢(511만평) 부지에 활주로 2본, 계류장, 탄약고, 유류저장시설, 작전·방호·정비·생활·복지시설 등이 조성될 예정이다. 민항은 92만㎡(28만평) 부지에 1226만 명의 인원과 21만8000톤의 화물을 처리할 수 있는 시설이 들어서게 된다.

정부는 민항 건설사업의 기본계획을 올해 말까지 수립하고 내년 설계에 착수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현재 군공항 건설과 종전 부지 개발사업의 사업시행자로서 사업을 대행할 특수목적법인(SPC) 설립을 추진 중이다.

윤 대통령은 “2030년 개항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신공항 건설에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연계 고속 교통망도 확충해 나갈 것”이라며 “서대구 신공항 의성을 연결하는 대구 경북 신공항 광역급행철도(GTX)를 건설하고 GTX 급 차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했다.

또한 정부는 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팔공산을 관통하는 총 사업비 1조 8500억 원 규모의 민자고속도로를 개통할 계획이다. 현재 대구시는 팔공산 관통 고속도로의 경제성·타당성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민간사업자의 사업 참여 의사를 확인 중이다. 국토교통부는 적격성 조사, 전략환경영향평가 등의 과정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관계부처와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