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B 상반기 착공…C 노선 2028년 개통 예정
정부가 광역급행철도(GTX)를 통한 ‘30분 이내 출퇴근’ 등을 위해 교통 부문 정책을 빨리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26일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교통 혁신 전략 이행 현황과 올해 상반기 계획 등을 점검했다. 지난달 25일 총선을 석달 앞두고 윤석열 대통령이 연 토론회에서 관련 전략이 발표된 뒤 나온 조치다.
GTX-A 노선 수서∼동탄 구간은 계획대로 내달 30일에 뚫린다. 이를 위해 지난 23일 국토부는 영업 시운전에 들어갔다.
B 노선 용산∼상봉 구간은 같은 달 초, 인천대입구∼용산 구간과 상봉∼마석 구간은 올 상반기에 각각 공사가 시작된다. 지난달 25일에 착공한 C 노선은 격주 단위의 회의를 통해 오는 2028년 개통하는 게 목표다. 신설 노선인 D~F는 내년 상반기 ‘5차 국가철도망계획’에 반영하기로 한 방침을 이어간다.
지방 광역급행철도(x-TX) 사업을 위한 준비도 본격화된다. 이를 위해 선도사업으로 ‘대구경북 신공항철도’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공공 투자 사업 시 경제성과 정책 타당성 등을 검증케 하는 것)를 신청했다.
‘충청권 광역급행철도’(가칭 CTX)는 오는 4월에 민자적격성조사를 의뢰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4월에 지방자치단체 설명회를 거쳐 관련 사업을 더 발굴할 방침이다.
수도권 신도시의 권역별 단기 대책도 구체화되고 있다. 김포골드라인 혼잡을 완화하기 위해 광역버스 4개 노선 신설을 추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김포골드라인에 오는 6월부터 순서대로 6편성을 더 투입하기 위한 주행 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국토부는 수도권 동·남·북부 지역에 대한 관련 대책도 6월까지 내놓을 예정이다.
정부는 철도 지하화를 위한 연구 용역도 이달 초에 발주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내년 말까지 지하화할 철도 노선을 정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