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4개 지자체, "국회 세종의사당 건립·행정수도 명문화" 팔걷고 나섰다
행정협의회 열려…4개 핵심과제 추진 공동결의문 채택
충청권 4개 지자체들은 국회 세종의사당의 신속한 건립과 개헌시 행정수도 명문화 등을 위해 팔 걷고 나섰다.
14일 세종시에 따르면 이장우 대전시장을 비롯해 최민호 세종시장, 김영환 충북지사, 김태흠 충남지사 등 충청권 4개 시도 단체장들은 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32회 충청권 행정협의회'에서 4개 핵심과제 추진을 위한 공동결의문을 채택했다.
이번 4대 과제에는 ▲국회 세종의사당 조속 건립 및 개헌시 행정수도 명문화▲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 연내 제정▲보령∼대전∼보은 고속도로 등 충청권 초광역협력 도로·철도 선도사업 국가계획 반영 및 예비타당성조사 면제▲세종∼청주 고속도로 조기 개통 등이 포함됐다.
김영환 지사는 "현 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간 장벽을 없애기 위해 다양한 초광역권 육성 과제를 제시한 만큼 지금이 충청권 특별지자체를 출범시킬 최고의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부내륙연계발전지역 지원에 관한 특별법은 국토 균형발전을 넘어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새 생존전략"이라며 "특별법 연내 제정을 위해 충청인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당부했다.
최 시장은 "세종시가 행정수도 완성이란 대의를 실현하고 충청권이 국가균형발전을 선도하는 지역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국회 세종의사당의 조속한 건립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1987년에 개정된 헌법이 현 실정에 맞도록 개정을 통해 세종시가 행정수도로 명문화돼야 한다며 힘을 모아달라"고 주문했다.
이 시장은 "초광역 메가시티 구축과 시도간 공조, 협력의 중요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지방권한 확대는 한 지자체의 노력만으로는 달성하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이어 "'0시 축제'를 성공리에 마무리한 대전시의 경험을 최대한 살려 충청권과 함께 메가시티 구축과 지방분권 확대에 앞장서는 역량을 입증해 보이겠다"고 약속했다.
김태흠 지사는 "충남도는 이번에 충청권 초광역 협력을 위한 도로·철도 선도산업 국가계획 반영과 예비타당성 면제 등 총 4개 항목을 건의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속가능한 초광역 지역연합 구축을 위해서는 지역을 하나의 광역생활 경제권으로 통합하는 도로·철도 교통 인프라를 확충한 것이 유효하다"며 국가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한편 '2027 충청권 하계세계대학경기대회조직위원회'가 세종시 어진동 조직위 사무처에서 현판식을 하고 공식적인 활동에 돌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