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림정책 만족한다" 74.9%…1위 ‘국토녹화’ 손꼽아
‘2023년 산림 국민의식조사’ 발표…숲가꾸기·임도확대 정책 필요
국민 만족도가 가장 높은 산림정책은 국토녹화로 나타났다.
산림청이 31일 발표한 ‘2023년 산림에 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의 산림정책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74.9%로 지난 2015년(61.5%)보다 13.4%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국토녹화(85.4%)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지난 50년간 추진한 산림정책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했다.
산림정책에 대한 국민의 기대 수준도는 높게 나타났다. 숲가꾸기 (82.9%), 임도 확대(68.8%) 정책이 필요한 가운데 정원조성·관리와 정원문화의 확대(74.9%)가 중요하다고 응답했다.
목재이용과 관련해 국민의 절반 이상(58%)은 ‘목재를 활용하는 것이 산림을 파괴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응답했다. 또 국민 10명 가운데 6명(62.0%)은 사유재산권을 침해받는 산림에 대해 산주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손실보상금 제도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나무로 소나무(46.2%)를 손꼽았고 꽃나무는 벚나무(21.1%)를 선택했다. 국민 10명 가운데 8명(75.9%)은 연 1회 이상 산을 방문한다고 응답한 가운데 주 1회 이상 산을 찾는 국민(28.6%)은 지난 2015년(9.8%)에 비해 약 3배 늘었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림이 갖고 있는 경제적, 환경적, 사회문화적 기능을 최대한발휘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목소리를 청취하는 것이 필수”라며 “이번 국민의식조사 결과를 반영해 만족도가 높은 정책을 내실화하고 필요한 정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