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동철의 갤러리:인터뷰]서양화가 공주교육대 박동윤 교수‥“현대한국회화담론에서 ‘한지’주목해야”[정년기념展,12월14~20일,갤러리 그림손]

2022-12-03     권동철 미술전문기자
교수연구실에서 박동윤 작가. 사진=권동철

한지작가 박동윤(공주교육대학교 미술학과 교수, 1957~)화백이 내년 2월 정년퇴임을 앞두고 12월14일부터 20일까지 서울인사동 ‘갤러리 그림손(Grimson Gallery)’에서 ‘박동윤(PARK DONG YOON) 정년기념전’을 연다. 마무리 작업에 바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박동윤 작가를 서울 종로구 조용한 카페에서 만났다.

작품소재인 한지에 어떻게 매료됐는지요.

-캔버스나 표현재료 등은 작가에게는 매우 중요한 관심사입니다. 대개 유화나 아크릴로 작품을 제작하고 경험하게 되는데, 그런 것이 쌓이면서 특별한 재료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지요. 시행착오와 고민의 과정에서 ‘자기 것’을 만나게 되는데 저의 경우는 판화에 대한 관심(1978~2002년)이 거의 지대하였다고 해야 할 것 같아요.

판화에 오랜 시간 천착하면서 다양한 종이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캔버스작업으로 회귀하면서 한국전통종이인 한지(hanji)를 나의 회화작업에 적극적으로 운용하게 된 것입니다.

박동윤 화백에게 한지는 어떤 작업적 의미를 함의하고 있는지요.

-한지는 회화재료로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어요. 전통펄프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판지(板紙)로서 다양한 색한지를 겹쳐 붙이거나 덧붙이거나 등 한지의 가소성(可塑性)을 최대한 구현해 보려고 다양한 방법으로 탐구하였습니다. 종이를 겹쳐 사용하여 두터운 마티에르를 만들어 본다든지 반투명성으로 나타나는 미묘한 색채 뉘앙스를 표현해보는 등이 사례입니다.

특히 조선후기 오롯이 우리의 것으로 즐겨했던 선조들의 문인화적 미감과 여전히 현대한국인에게 흐르는 서화동원론(書畵同原論)의 필획(筆劃) 그 고도의 정신성이 우리 DNA에 흐르고 있다는 확신입니다. 그것이 현대한국회화담론의 중핵(中核)이라고 여기기 때문이기도 한데 한지가 가진 특성을 살려 앞으로도 가장 한국적정서를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나아 갈 것입니다.

이번 ‘정년기념전’을 소개하신다면….

-‘정년기념전’은 작가의 길로 들어와 대학교수로서 정년을 맞게 되는, 개인적으로는 행운도 따르고 뜻깊은 개인전시회입니다. 그동안 다양한 작품변화를 겪어왔지만 전시회구성은 네 개 섹션으로 나누어 작품을 선별했습니다.

△첫 파트는 1986~2002년까지의 동판화 작품으로 1989년 대한민국미술대전 우수상수상 작품도 함께 합니다. △두 번째는 한지 캐스팅(casting)작업으로 전통 ‘닥 펄프(pulp)’를 사용하였고 천연재료인 황토, 먹물, 쪽(식물) 등으로 색채를 표현한 작품 △그리고 2002년 이후 지금 까지 제작하고 있는 한지작품들로 총30여점 정도 출품전시예정입니다.

 

공주교육대학교 내 ‘사제동행(師弟同行)’동상을 배경으로 박동윤 교수. 사진=권동철

후학양성에 힘써온 교육자로서 지켜온 신념을 말씀주신다면….

-교육계에 들어와 40년 넘는 세월 속에서 수많은 감회가 간단치는 않습니다. 늘 부족한 지식과 마음가짐으로 보낸 것 같아 후학들에게 빚진 마음도 있습니다.

공주교육대학교(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에선 33여년의 오랜 세월 동안 교수로서 봉직하였고 개인적으로 공주가 고향인 만큼 행운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내 삶의 구석구석 추억이 묻어있는 장소와 자연이 있었다는 것에 거듭 감사드립니다.

 

교수연구실에서 박동윤 미술가. 사진=권동철(2021)

◇박동윤(朴東潤)

1957 충남 공주생

1976 공주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졸업

1980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 졸업(B.F.A)

1985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 졸업(M.F.A)

2000 Beaver college 대학원 회화전공 수학(필라델피아)

2012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회화전공(미술학 박사)

△교육자 경력

1984~1986 계성여자고등학교 미술교사

1986~1989 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 조교

1986~1992 목원대학교 회화과 강사

1989~1990 부산여자대학교 미술학과 강사

1989~2003 홍익대학교 회화과, 판화과 강사

1989~1991 한국교원대학교 미술교육과 강사

1990~2023 공주교육대학교 교수

△주요 소장처

국립현대미술관(서울), 서울시립미술관, 홍익대학교 현대미술관(서울), 성곡미술관(서울), 무역센터(서울), 충무아트홀(서울), 쉐마미술관(청주), 공주교육대학교 도서관(공주), 정부미술은행( 서울), 박수근미술관(양구), 호서대학교(천안), 서울안과병원(안양).

 

#캡션

1=교수연구실에서 박동윤 작가. 사진=권동철.

2=공주교육대학교 내 ‘사제동행(師弟同行)’동상을 배경으로 박동윤 교수. 사진=권동철.

3=교수연구실에서 박동윤 미술가. 사진=권동철(2021).

 

권동철 미술전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