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C22] 넥슨, ‘메이플스토리’ 블록체인 게임 만든다
여러 게임이 NFT 공유하는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 발표
넥슨이 자사의 대표 IP인 ‘메이플스토리’를 활용해 블록체인 게임을 만든다. 또 여러 게임들이 NFT(대체불가능토큰)를 공유하는 공간인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를 구성해, 게임이 없어지더라도 NFT의 가치를 보존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강대현 넥슨 부사장은 8일 개막한 넥슨 개발자 콘퍼런스(NDC)에서 ‘블록체인과 가상세계의 진화’라는 주제로 키노트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그동안 넥슨이 준비해왔던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기반의 MMORPG ‘메이플스토리 N’ ▲샌드박스 제작 플랫폼 ‘MOD N’ ▲모바일 RPG ‘메이플스토리 N 모바일’ ▲NFT 기반으로 여러 앱들을 만들 수 있는 제작 툴 ‘메이플스토리 N’ 등 4종의 프로젝트를 준비중이다. 간판 게임 ‘메이플스토리’로 블록체인 시장을 정면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강 부사장은 “찔러보기식 도전이 아니다”라며 “진정성과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넥슨의 목숨줄이자 훼손할 수 없는 IP로 도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이 프로젝트들은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라는 하나의 세계관 하에 운영된다. 이 세계관에는 ‘메이플스토리’ 기반의 게임들이 여러 개 존재하고, 각 게임들은 동일한 NFT를 공유한다. 게임 하나가 서비스를 종료하더라도 다른 게임에서 여전히 NFT를 쓸 수 있는 셈이다. 강 부사장은 “일반적으로 게임이 없어지면 NFT는 사용처를 잃기 마련”이라며 “넥슨의 핵심 IP가 하나의 세계관으로 여러 게임에 공유된다면 NFT의 영속성 측면에서도 좀 더 신뢰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메이플스토리 N’은 ‘메이플스토리’에 NFT와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게임으로, 몬스터 처치와 퀘스트 완료 등 게임 플레이를 통해 얻은 아이템을 NFT로 만들 수 있게 해준다. 유료 상품을 판매하는 캐시샵이 없다는 점이 특징이다. 게임 내 경제활동으로 발생하는 수익금은 넥슨과 다른 기여자들에게 분배된다.
강 부사장은 “유저들이 아이템 소유권을 갖게 됨으로써 자유시장 경제가 자연스럽게 형성될 것”이라며 “넥슨도 기여자 중 하나로 분배받게 된다. 투명하게 잘 나눈다는 원칙을 바탕으로 훨씬 더 큰 성장을 이룰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MOD N’은 넥슨의 콘텐츠 제작 플랫폼인 ‘프로젝트 MOD’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프로젝트 MOD’와의 차이점은 ‘메이플스토리’ NFT 뿐만 아니라 외부 NFT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넥슨이 제공하는 3000만개 이상의 에셋을 활용해 게임을 만들 수 있으며, 이렇게 제작된 게임의 소유권은 크리에이터에게 주어진다.
‘메이플스토리 N SDK’는 NFT를 활용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툴이다. ‘메이플스토리’ NFT 홀더들을 위한 굿즈 제작 펀딩 앱, ‘메이플스토리’ 캐릭터를 통해 매일 건강을 점검받을 수 있는 헬스케어 앱 등 참신한 아이디어들이 앱으로 구현될 수 있다고 강 부사장은 설명했다.
넥슨은 ‘메이플스토리 유니버스’를 통해 전 세계 다른 블록체인 프로젝트들과도 접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강 부사장은 “다른 프로젝트에 메이플스토리가 진출하고, 다른 프로젝트가 메이플스토리 안으로 들어오는 등 서로 융합될 수 있는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넥슨은 거대한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중요한 일원이 되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