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과학기술의학전문대학원·뉴욕·평택캠퍼스 설립 추진
이광형 총장 취임 1주년 간담회, KAIST홀딩스 출범…미주법인 설치 예정
[이코노믹리뷰=세종 윤국열 기자]한국과학기술원(KAIST)는 과학기술 의학전문대학원을 비롯해 뉴욕캠퍼스와 평택캠퍼스 등을 중점 추진한다.
KAIST는 15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광형 총장 취임 1년간의 성과와 추진전략 등에 대해 소개하는 자리에서 이 같이 밝혔다.
이 총장은 남은 임기동안 ▲과학기술 의학전문대학원 설립 ▲뉴욕 캠퍼스 설립▲평택캠퍼스 설립 ▲KAIST 홀딩스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전략이다.
이 총장은 "현재 KAIST가 운영 중인 의과학대학원을 우선 확대한뒤 오는 2026년 과학기술의전원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삼고 있다"면서 "연구중심 의전원은 바이오메디컬 시대의 새로운 국가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 요건"이라고 강조했다.
KAIST는 글로벌 뉴욕 캠퍼스를 비롯해 차세대 반도체 분야를 선도할 첨단 융합연구 허브의 평택 캠퍼스 설립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KAIST 홀딩스에 관련해 스핀오프인 연구실 창업을 확대하는 한편 연구실 창업 및 미국의 기술지주 기업 및 지식재산을 관리하는 카이스트 홀딩스 미주법인 설치에 적극 나선다는 계획이다.
KAIST는 10개의 출자기업을 코스닥에, 2개의 출자기업을 나스닥에 상장시켜 기업가치 10조 및 기술료 수입 1,000억 원을 달성하는 것이 오는 2031년까지 목표다.
이날 간담회에서 이 총장은 취임후 진행해온 KAIST 신문화 전략의 추진현황에 대해서도 공유했다.
학생이 기말시험 문제를 직접 출제하는 ‘문제 내는 문제’를 시범 도입하고 ‘에듀케이션 4.0 Q’라는 교과목도 함께 운영하는 한편 향후 단과대별 질문형 융합교과과정을 개발·운영해 전공 및 인성 리더십 교육 등 교육 체계를 확립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전문연 리더십 교육을 비롯해 매주 셋째 주 월요일마다 보직자 대상의 매세월 서연, 초일류 리더십 아카데미 등을 운영해 호응을 얻었다.
지난해 디지털 인문사회과학센터를 개소하고 올해 3월에는 디지털 인문사회과학부가 새롭게 출범한다.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씨를 문화기술대학원 초빙 석학교수로 임용하고 내년 9월에는 KAIST 미술관을 개관한다.
한편, ‘창의도전 프로젝트’와 ‘도약연구 프로젝트’등을 도입하는 한편 지난해 7월에는 실패연구소를 설립한 것을 시작으로 Post AI 연구소를 신설하고 글로벌 경쟁력 위원회를 설치하는 등 큰 성과를 거뒀다.
이밖에, 글로벌 인재 유치를 위한 글로벌 융합프로그램 신설 등을 검토함은 물론 외국인의 편의를 위해 법무부와 협업해 KAIST 석·박사 학위 취득자들의 비자 발급 요건을 완화하고 비자센터를 설치했다.
이 총장은 "1년전 취임식에서 KAIST가 세계 일류대학이 되지 못한 건 우리 구성원들에게 아직 세계 일류대학이 되겠다는 뜻을 세우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면서 "총장의 역할은 KAIST가 세계 최고의 대학이 될 수 있다는 근거를 제시하고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