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테크밸리’ 분양 순풍?…연구소 부지 분양 '걸림돌'
7차계약서 산업ㆍ복합용지 3곳 분양완료 계약 해지 된 필지 포함 아직 9건 남아 기업 소송ㆍ연구소부지 분양 여부 등 숙제
[이코노믹리뷰=세종 윤국열 기자]행정중심복합도시 4-2생활권 도시첨단산업단지인 세종테크밸리의 분양률이 92%에 달하는 등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미계약 필지의 분양과 규모가 큰 연구소부지에 대한 분양 등 숙제를 얼마나 잘 푸는냐에 따라 사업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12일 세종시에 따르면 지난달 4-2생활권 세종테크밸리내 3개 기업이 토지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계약을 완료한 토지는 산업용지 1개 필지를 포함해 복합용지 2개 필지 등 총 3개 필지로 총 면적은 1만4,000㎡에 달했다. 이로써 세종테크밸리내 총 52개 필지 가운데 43개 필지가 분양 완료돼 현재 92%의 분양률을 기록했다.
LH세종본부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오는 2023년까지 2,276억원을 투자해 89만8,466㎡(27만2,000평)규모로 세종시 집현동 일대에 첨단업종(IT, BT, ET)과 지식문화산업(지식산업, 정보통신)를 유치해 대학ㆍ기업ㆍ연구기능의 집적화단지인 세종테크밸리 단지를 조성중에 있다.
지난해 12월 계약기준으로 보면 세종테크밸리내 입주기업은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창업진흥원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이 이미 입주를 마쳤다. 특히 산학연클러스터지원센터와 민간 지식산업센터인 세종대명벨리온이 완공돼 유망 벤처 기업을 입주시켜 창업을 육성하고 업무공간을 제공해 오고 있다.
마크로젠과 수젠텍, 펩트론 등 바이오 상장기업 등도 토지 계약을 마쳤고 성광유니텍, 석화디자인 등 창호ㆍ기계장치 제조관련 중소기업들도 입주를 앞두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2020년에는 4-2생활권내 대학교 예정부지 인근에 산업용지 1개 필지를 마련한뒤 현재 데이터센터 공사가 한창이다. 12일 현재 공정율 18%를 보이면서 전국서 최대 규모인 29만㎡(8만8,000평) 전체 4층 규모로 내년 12월에 준공 예정인 가운데 운영동 건물과 함께 공사중이다. 향후 200명을 직접 고용한다는 계획이다.
LH세종본부는 잔여 9개 필지는 오는 2022년 상반기내 8차 입주자 모집 및 토지분양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산업용지 5개 필지(필지별 규모 1,500~3,800㎡)와 복합용지 4개 필지(필지별 규모 5,000~7,000㎡)등 총 9개 필지다.
다만, 오는 2023년 준공전까지 풀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 우선 해지된 필지가 내년에 공급할 9개 필지 가운데 무려 6건에 달한다. 행복청에 따르면 수 개월전에 자진해지 1건을 비롯해 계약해지 5건 등 총 6건이 현재 미계약 토지로 남아 있다. 기존에 토지계약을 완료한 5개 기업이 현재 계약해지 취소소송을 준비중에 있다는 소문이 돌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세종시는 토지 계약후 2년내 착공하지 않으면 계약해지 사유 조건에 해당됨에 따라 크게 개의치 않는 입장이다. 특히 4-2생활권내 세종테크밸리 입지가 워낙 양호해 재분양 공고를 하더라도 입주자 모집시기가 지연되는 문제는 발생하겠지만 재분양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는 분위기다.
LH세종본부 관계자는 “내년 상반기내 분양하는 8차 산업업무용지와 복합용지는 분양가는 지난 7차에 비해 비슷하거나 소폭 상승한 가격에서 결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7차때 산업용지는 평당 190만원, 복합용지는 250만~280만원 선에서 각각 분양된 바 있다.
LH세종본부에 따르면 조성원가 이하에서 공급예정인 8차 공급분 필지도 이 범위를 벗어나질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불가피하게 토지 분양가가 인상하더라도 과거 분양가격을 감안하다면 10% 범위내 상승을 예상했다.
하지만 아직 큰 걸림돌이 남아있다. 8만㎡(24,000여평)에 달하는 연구소 부지의 분양여부가 관건이다. 워낙 부지면적이 커서 대기업이 아니면 해당토지에 관심을 두기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행복청에 따르면 해당 필지의 분양이 지연될 경우 토지를 분할후 판매하거나, 산업업무용지로 용도변경해 재공급할 수도 있다는 계획도 나온다. 불가피하게 용도변경을 한다면 사업시행자인 LH가 사전검토를 거친뒤 국토부장관의 승인절차를 밟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남아있다.
이처럼 연구소 부지를 분할판매 또는 용도변경을 한다면 산학연 목적으로 조성된 도시첨단산업단지의 당초 취지에 벗어난다는 업계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국내외 대학 유치를 포함해 연구소와 기업들을 입주시켜 연관산업간 시너지를 조성하겠다는 본래 목적과는 어긋나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네이버 데이터센터 외에 입주예정인 대기업이 없는 상태에서 과연 산학연 본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특히 네이버가 밝힌 직접고용인원은 200여명에 그쳐 지역 고용효과가 미흡한데다 업종상 데이터 센터라는 한계도 있다는 지적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중소기업 및 창업기업들도 자체 연구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단지 연구소 부지의 변경사유만으로 도시첨단산업단지의 역기능을 말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면서 “다만, 산학연을 목적으로 하는 당초 도시첨단단지의 조성 계획대로 대학을 비롯해 연구소와 기업들의 입주를 완료하다면 좋은 환경에서 본래의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