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내년 예산 7.2조원 편성…올해보다 9% ↑
복지예산, 2조4,133억원 반영…올해보다 2,283억원 늘어 도시철도 2호선 건설에 218억원…공공일자리에 347억원
[이코노믹리뷰=세종 윤국열 기자]대전시는 내년도 예산을 올해보다 9.0% 증가한 7조2,174억 원 규모로 편성했다.
11일 대전시에 따르면 내년예산은 회계별로 일반회계 5조3,668억 원, 특별회계 9,984억 원, 기금 8,522억 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올해 대비 일반회계 6,518억 원(13.8%↑), 특별회계 315억 원(3.3%↑)이 증가하고 기금은 860억 원(9.2%↓) 감소한 규모다.
세입예산은 코로나19 백신 상용화 등에 따라 지방세 등 자체수입과 이전수입 모두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방세의 경우 자동차세와 레저세는 감소하는 반면 취득세, 주민세, 담배소비세, 지방소비세, 지방소득세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수입은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보조금과 기금은 감소하는 반면, 지방교부세와 국고보조금은 증가해 전체적으로 소폭 증가할 전망이다.
세출예산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악화된 지역경제 회복에 최우선을 뒀다. 시민과의 약속사업을 포함해 신규 먹거리 사업, 인구구조 변화 대응 사업을 위한 투자에 중점을 뒀다.
우선, 코로나19로 악화된 지역경제 회복을 위해 대전형 공공일자리 68개 사업 347억 원,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및 운영 1,396억 원, 중소기업 경영안정 및 창업자금 이차보전 80억 원, 소상공인 경영개선 자금 76억 원, 대전형 뉴딜펀드 조성 66억 원 등을 반영했다.
특히 베이스볼 드림파크 69억 원, 도시철도 2호선 건설 218억 원, 어린이집 무상급식 운영지원 105억 원, 공공어린이재활병원 건립 30억 원, 주민참여예산 사업에 194억 원을 반영했다.
신규 먹거리 사업지원을 위해 글로벌 혁신창업 성장허브 조성 244억 원를 비롯해 캠퍼스 혁신파크 선도사업 지원 68억 원, 대전형 유니콘 기업 육성 27억 원, 대덕특구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협업플랫폼 30억 원, 로봇융합 비즈니스 지원에 10억 원 등을 편성했다.
이밖에 저출산ㆍ고령화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지사업 투자 확대를 위해 대전형 양육 기본수당 818억 원, 영유아보육료 1,326억 원, 가정양육수당 183억 원, 기초연금 4,400억 원, 노인일자리 지원에 748억 원 등을 반영했다.
분야별로는 복지예산이 올해 대비 2,283억 원 증가한 2조 4,133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37.9%)을 차지했다.경제 분야 중 과학기술 분야는 올해 대비 315억 원(64.2%) 증가한 805억 원으로 크게 늘었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코로나 위기 이전으로의 완전한 회복을 위해 내년에는 재정의 역할이 클 수밖에 없다”며“적극적 재정지출을 통해 지역경제를 회복하고 선도형 경제로 전환하는데 중점을 두고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편성한 예산안은 시의회 의결을 거쳐 내달 14일 최종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