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 분양 받았어야"…서울 새 아파트, 4년새 10억원 치솟아
文 정권 출범 당시 분양된 서울 아파트 10곳, 평균 10억씩 뛰어 "수요는 많지만, 공급이 부족한 서울…새 아파트들 희소성 높아져"
[이코노믹리뷰=이소현 기자] 문재인 정부가 어떻게든 집값을 잡고자 26번의 부동산 대책을 쏟아냈지만, 부동산 열기는 식을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서울의 경우 신규 주택 공급이 급감하면서 새 아파트와 재건축 아파트로 수요가 쏠리는 중이다.
그 중에서도 2017년 5월 현 정권 출범 당시 분양된 일부 아파트들은 분양가 대비 집값이 약 130%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13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지난 2017년에 분양한 서울 아파트 중 올해 9월에 실거래된 아파트 10곳을 살펴본 결과, 이들의 아파트들은 분양가 대비 평균 10억2,000만원 오르고 128.3%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양가 대비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은 곳은 2017년 11월 DL이앤씨(옛 대림산업)과 롯데건설이 은평구 응암동에 분양한 ‘녹번e편한세상캐슬1차’다. 단지는 전용면적 59.97㎡ 기준 당시 4억 4,000만원에 분양했지만, 올해 9월에는 11억7,500만원(18층)에 실거래가 이뤄진 상태다. 분양가 대비 매맷값이 7억3,500만원 오르고 167.0% 상승한 것이다.
영등포구 신길동에 SK에코플랜트(SK건설)이 분양한 ‘보라매SK뷰’ 전용면적 84.98㎡은 2017년 5월 6억7,000만원에 분양됐다. 이후 올해 9월에는 17억(13층)에 실거래가 이뤄져 분양가 대비 10억3,000만원 오르고, 153.7% 훌쩍 뛰었다.
2017년 6월 HDC현대산업개발이 서울 양천구 신월동에 분양한 ‘목동센트럴아이파크위브1단지’ 전용면적 84.96㎡은 5억8,000만원에 분양했지만, 지난달 14억원(7층)에 거래돼 분양가 대비 8억2,000만원 상승하고, 141.4%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2017년 9월 GS건설이 서울 서초구 잠원동에 분양한 ‘반포센트럴자이’ 전용면적 114.96㎡은 19억1,000만원에 분양했지만, 올해 9월에는 45억(16층)에 실거래가 이뤄져 분양가 대비 25억9,000만원(135.6%) 올랐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서울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는 많지만,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자 새 아파트들의 희소성이 커져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는 분위기”라며 “즉각적이고 획기적인 공급확대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