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수소 전도사’ 됐다
수소사회 실현 위해 민·관협력 도모 앞장
[이코노믹리뷰=최동훈 기자] 국내외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대상으로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에 대한 빅데이터를 분석하면 연관어로 수소가 등장한다. 전세계 자동차그룹 최고경영자(CEO)로는 이례적인 데이터다.
정의선 회장이 그룹 안팎에서 ‘수소 전도사’로 불릴 만큼 수소사회를 앞당기기 위한 리더십을 적극 발휘하고 있다. 수소를 미래와 지구, 인류를 위한 솔루션으로 확신하고 관련 사업을 적극 전개하는 중이다.
정의선 회장은 7일 하이드로젠 웨이브(Hydrogen Wave) 행사에서 현대차그룹의 미래 수소사회 비전인 ‘수소비전 2040’과 수소연료전지기술, 수소모빌리티 등의 청사진을 소개했다.
정의선 회장은 이날 행사를 통해 임직원들에게 “미래 세대에게 지속가능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도록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수소를 잘 모르는 어린 아이들도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준비했으면 좋겠다”며 “미래 세대가 와서 관심있게 보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자”고 당부했다.
수소 사업에 대한 정의선 회장의 신념은 지난 7월 미국을 방문할 당시 현지 주요 인사들과 나눈 대화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정의선 회장은 현장에서 “수소는 사업의 난이도도 있고, 단기간 내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는 측면도 있다”며 “하지만 전 지구적 기후변화 해법을 찾는 것은 우리 세대의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우리 세대가 뚫고 나가서 이뤄내지 못한다면 우리 아들 딸 세대가 우리에게 뭐라고 하겠는가”라며 “난관이 있더라도 우리 세대는 역할을 하고 반드시 극복하고 해내야 한다”고 피력했다.
정의선 회장은 지난 20여년 간 현대차그룹이 대규모 투자한 수소 에너지 분야에 전지구적인 차원의 관심과 동참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이에 따라 국가별 정부나 업계의 관계자들을 만나 수소 에너지 분야를 알리기 위한 노력을 이어왔다.
정의선 회장은 이 일환으로 국내 수소관련 대표기업 최고경영자들의 모임인 ‘수소기업협의체’에서 산파역을 맡는다. 오는 8일 공식 출범하는 수소기업협의체에는 정의선 회장을 비롯해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수소기업 협의체는 수소 사회를 실현시키기 위한 민간기업 차원의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정 회장은 앞서 지난 5월 ‘2021 P4G 서울 정상회의’에서 연설자로 나서, 기후변화 대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도시와 시민들의 행동과 실천을 꼽았다. 또 지난해 초 미국 에너지부(DOE) 마크 메네제스(Mark Menezes) 당시 차관을 만나 미국 내 수소 저변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공식 면담에 이어 메네제스 차관과 수소전기차 넥쏘에 동승해 대화를 나누고 넥쏘의 자율주차 기능을 직접 선보였다. 미국 주지사협회 동계회의 리셉션에도 참석해 수소의 친환경성 등을 설명했다.
정 회장은 수소사회를 조기 구현하기 위해 국내외 민간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하는데도 힘쓰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이 일환으로 지난 2018년 10월 에어리퀴드(Air Liquid), 다국적 에너지기업 엔지(Engie) 등 프랑스 기업들과 현지에서 수소전기차와 수소충전 인프라를 모두 확산하기 위해 공동 노력하는 내용의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또 이어 지난해 11월에는 글로벌 화학기업 이네오스(Ineos)그룹과 수소의 생산, 공급, 저장, 수소전기차 개발에 이르는 통합 수소 밸류체인 구축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지난 7월엔 그린수소를 생산하기 위해 캐나다 넥스트하이드로젠(NextHydrogen)과 수전해 시스템 공동 개발 및 사업화에 대한 업무협약을 맺었다.
국내 기업들과도 활발히 제휴하고 있다. 지난 2월 포스코그룹과 수소연료전지 발전사업 공동 추진, 그린수소 생산·이용 관련 기술 개발 등 다각적 협력을 추진키로 했다. SK그룹, GS칼텍스 등과 수소 충전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협력하고 있다. 또 두산퓨얼셀, LS일렉트릭 등 기업과 수소연료전지 발전시스템을 공동 개발하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