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무원, 식물성 단백질·고기 사업 본격화
2023년까지 3개년 중기 로드맵 수립, 한국을 중심으로 미·중·일에서 신제품 출시 박차
[이코노믹리뷰=박자연 기자] 풀무원이 ‘식물성 지향 식품(Plant Forward Foods) 선도 기업’을 선언하고, 식물성단백질과 식물성 고기 사업에 본격 나선다.
풀무원은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건강과 지구환경을 중시하는 식물성 식품 선호와 소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에 부응하여 세계 수준의 식물성 단백질 연구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식물성 지향 식품 사업전략’을 수립하고 한국과 미·중·일 글로벌 시장에서 혁신적인 신제품을 본격 출시함으로써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
풀무원의 ‘식물성 지향 식품 사업전략’은 건강과 지구환경을 위해 육류 사용을 최소화하고, 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식품과 식단을 제공함으로써 건강과 지속가능성을 실천하는 로하스(LOHAS) 가치를 구현하겠다는 사업 전략이다.
풀무원은 2020년 ‘이웃사랑, 생명존중’의 풀무원 정신을 구체화하고 지속가능성장을 도모하기 위해 영양균형, 동물복지, 친환경 등 로하스 6대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식물성 지향 식품 사업'은 HMR(가정간편식) 사업과 함께 풀무원의 핵심 사업이다.
이 전략은 1984년 창립 이래 다져온 세계 최고의 두부 제조 및 식물성 단백질 R&D 기술과 저력을 바탕으로 핵심 역량을 강화하여 미래 식품 시장을 주도해 나가겠다는 풀무원의 야심찬 계획이다.
풀무원은 이를 위해 식물성 단백질 전담 부서인 ‘PPM(Plant Protein Meal) 사업부'를 중심으로 2023년까지 3단계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여 혁신적인 식물성 지향 신제품을 순차적으로 선보일 계획이다.
풀무원은 식물성 지향 식품을 6개 카테고리로 나누어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이 카테고리는 ▲식물성 고단백질 식품(Plant-based Protein Food) ▲식물성 저탄수화물 식품(Plant-based Low Carbohydrate Food) ▲식물성 고기(Plant-based Meat) ▲식물성 음료 및 음용식품(Plant-based Beverage & Drinkable Food) ▲식물성 발효유(Plant-based Yogurt) ▲식물성 편의 식품(Plant-based Convenience Food)이다.
올해 국내에서는 ▲식물성 원료로 만든 고단백질을 제공하는 ‘식물성 고단백질 식품’ ▲탄수화물 섭취를 저감하는 ‘식물성 저탄수화물 식품’ ▲동물성 고기의 대안으로 식물성 원료로 만든 ‘식물성 고기’ 등 3개 카테고리에서 20여 종의 신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이 가운데 8종은 이미 개발을 완료했다.
가장 먼저 ‘식물성 저탄수화물 식품’으로 탄수화물 식품인 밀가루 면을 대체하는 가정간편식 스타일의 ‘두부면 KIT’를 선보일 예정이다. 두 번째는 ‘식물성 고단백질 식품’으로 ‘큐브두부’와 ‘두부바’를 출시한다. 세 번째는 ‘식물성 고기’로 ‘두부크럼블 덮밥소스’와 치킨을 대체한 ‘두부텐더’를 연이어 선보일 계획이다.
국내 식물성 지향 제품을 동시적으로 미국, 중국, 일본 등 글로벌 시장 특성에 맞게 현지화하고 국가별 공유 및 확산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제품에 있어서도 고기와 같은 육즙을 최대한 살린 식물성 고기 제품도 속속 내놓을 예정이다.
특히 임파서블푸드, 비욘드미트 등 글로벌 기업들이 식물성고기 같은 특정영역 제품 개발에 치중하여 서양식 메뉴와 햄버거 패티 중심인데 반하여, 풀무원은 식물성 고단백질, 식물성 저탄수화물, 식물성 고기 등 다양한 영역에서 패티뿐 아니라 직화구이 등 한국식 메뉴를 개발하여 차별적 경쟁력을 갖춘다는 계획이다. 고기 식감과 유사한 소재 개발을 완료하고, 더욱 혁신적이고 고도화된 신제품을 선보여 글로벌기업들과 본격 경쟁한다.
앞서 ‘식물성 발효유’ 제품으로는 풀무원다논이 우유 대신 코코넛으로 만든 비건 요거트 ‘식물성 액티비아’를 출시했다. 이 제품은 아시아권에서 주요 발효유기업이 출시한 첫 비건 인증 대체 요거트이다.
풀무원기술원 이상윤 원장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미국 등 세계적으로 육류 대신 건강하고 영양이 높은 식물성 단백질원을 찾는 소비자들이 급증하고, 지구환경과 생태계를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세계 최대 두부 기업인 풀무원은 지난 40년간 다져온 세계 최고의 두부 제조기술과 콩 단백질 R&D 능력을 바탕으로 식물성 지향 식품 사업을 선도하여 미래 먹거리 시장에서 글로벌 기업들과 어깨를 나란히 경쟁해 나갈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