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창조경제와 손잡다

미래성장산업의 인재요람 ‘지역특화산업학과’에 도전하라

2015-12-21     박정훈 기자

현재 우리나라의 기술 중심 산업에서 노동인력의 수요와 공급은 딜레마를 겪고 있다. 직장을 원하는 취업준비자들은 일자리가 부족하다고 아우성인 반면, 기업들은 당장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전문 기술인력을 찾기 힘들다고 호소한다.

이유는 여럿이지만, 가장 핵심은 오늘날 우리 대학이 기업 현장이 필요로 하는 실무기술과 내용들을 가르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을 깨기 위해 민관 차원에서 다양한 아이디어들이 나오고 논의돼 왔다.

그 가운데 하나로 올 들어 눈에 띄는 것은 중소기업청이 전국 권역별 창조경제혁신센터들과 함께 손잡고 각 해당지역의 특화산업과 연계된 기술연구개발 고급인력을 양성, 지역 중소·중견기업에 공급하는 ‘지역특화산업학과 신설’ 사업이다.

지역경제발전과 일자리 창출,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혁신 인재 육성이라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프로젝트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중기청은 지난 15일 전국 9개 대학의 ‘지역특화산업학과’를 선정하고, 내년부터 학과 개설과 운영에 돌입, 본격적인 ‘지역상생-혁신창출’에 기여할 차세대 인재 양성에 나선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연계 중소기업에 기술인력 공급

전국 17개 지역에 소재한 창조경제혁신센터 인근 대학에 ‘지역특화산업학과’ 전문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는 사업이다.

중소기업청은 지난 2014년 부산대 수송기기 하이테크소재부품 학과, 2015년 경기 성균관대 융합형 기계설계학과를 시범적으로 지역특화산업학과로 지정, 운영한 데 이어 올해 사업확대를 위해 9개 대학 9개 학과를 추가로 선정했다. 해당 대학과 학생들은 정부와 기업으로부터 기술교육에 필요한 인프라와 자금을 지원받는다.

주요 모집 분야는 모바일소프트웨어학‧전기전자융합시스템공학‧기계자동차공학‧고분자․화학․화학공학‧IoT융합공학‧무인시스템공학‧웰니스바이오산업학‧지능형메카트로닉공학‧수송시스템공학 등 첨단 기술 산업 분야다.

중소기업청 인력개발과는 “지역특화산업학과의 가장 큰 특징이자 장점은 채용조건형 계약학과라는 점”이라고 소개했다.

즉, 기업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기술인력을 확보하기 위해 민관이 서로 의기투합해 산업체와 교육기관(대학)이 학과 재학생의 졸업과 동시에 의무채용 및 의무근무를 조건으로 하는 계약을 맺고 설치, 운영하는 학과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이번에 선정된 9개 지역특화산업학과에 합격한 학생들은 입학에 앞서 중소·중견기업과 사전에 채용약정을 맺고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친 뒤 약정 기업에서 2년 이상 의무근무를 하게 된다.

 

등록금 전액에 연구활동비도 지원… 졸업 뒤 2년간 기업에 의무근무

쌍방계약인 만큼 반대급부로 지역특화산업학과 재학생들에게는 정부가 4학기 등록금 전액을, 대학교에는 학과운영비를 지원한다. 약정을 맺은 중소·중견기업도 채용약정 학생들에게 매월 20만원 이상의 연구활동지원금을 지급한다.

또한 병역의무를 수행해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졸업 후 3년간 기업체 전문연구요원으로 근무하면서 병역을 대체할 수 있도록 해 학업과 병역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했다.

이번에 지역특화산업학과로 ‘모바일소프트웨어학과’로 선정된 상명대학교 김동근 교수는 “학비와 연구비 지원에 병역대체 혜택까지 주어져 양질의 학생들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서울지방중기청 김민지 주무관도 “권역별 지역특화산업학과의 이름을 달고 있지만, 입학생 모집은 전국 단위로 받고 있어 많은 학생들이 지원신청했으면 좋겠다”고 희망를 피력했다.

중소기업청은 내년부터 전국 9개 대학에 모바일소프트웨어학과‧전기전자융합시스템공학과를 신설하고, 학과별로 12~15명의 신입생들을 받는다. 대학별 해당학과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이나 각 산업현장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사전에 확보하고 싶은 기업은 지역과 학과를 고려해 11개 대학 모집 요강에 따라 신청하면 된다.

한편, 중소기업청은 내년에 신설되는 9개 지역 외에도 사업의 수요를 파악해 내년 하반기에 지역특화산업학과를 추가로 개설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