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가 울산공장에서 아이오닉 5를 생산하는 모습. 출처= 현대자동차
현대차가 울산공장에서 아이오닉 5를 생산하는 모습. 출처=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 노조가 인력 고급화, 세수 확대 등을 주장하며 정년연장을 사측에 지속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12일 현재 현대차 노조는 사측과 진행중인 2022 임금 협상의 교섭안에 정년연장을 한 요구사항으로 제시했다.

노조는 이와 함께 기본급 16만5200원 인상, 순이익 30% 성과급 지급 등을 교섭안 내용으로 제시했다.

현재 현대차 노조에서 정년 연장의 여론을 주도하는 인물은 안현호 지부장이다. 지난해 12월 53.3% 투표율을 기록해 당선된 안현호 현대차 노조 위원장은 선거 공약 중 하나로 정년연장을 내세웠다. 현재 현대차 근로자에게 적용되고 있는 60세 임금 10% 삭감 제도를 폐지한 뒤, 65세까지 매년 10%씩 임금을 삭감하되 고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공약의 골자다.

노조 내부에서는 이에 더해 지난 2017년 해체된 정년연장추진위원회를 재구성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1955~1957년생의 조합원들로 구성된 정년연장추진위원회는 활동 기간 중 노사 협상이 진행될 때마다 교섭안에 정년연장을 담았다. 해당 조직은 이후 구성원들이 순차적으로 정년퇴직함에 따라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이번에 결성하려는 정년연장추진위원회는 1960년대생의 조합원들로 구성될 것으로 전해진다. 1965년 출생한 안현호 지부장도 1960년대생이다. 이들은 “모든 노동자들이 함께 적용받을 정년연장 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1960년대생들이 뭉쳐야 한다”는 구호를 내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1960년대생 근로자들은 지난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정년퇴직하고 있다. 다만 현행법에 따른 국민연금(노령연금) 수령 개시 시점과 퇴직 시점 사이에 격차가 발생해 수입공백에 맞닥뜨릴 예정이다.

다만 사측은 그동안 노조의 정년 연장 요구를 수용하지 않았다. 민간기업이 제도에 앞서 개별적으로 직원의 정년을 연장하는 것이 경영상 부담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뿐 아니라 전동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필요한 노동력의 규모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정년을 늘릴 경우 노동력 과잉 현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노조는 최근 코로나19 시국과 공급망 이슈 등을 고려해 정년연장을 결사적으로 요구하진 않았다. 지난해 진행한 임단협에서는 정년연장, 해고자 복직 등 사안을 제외한 교섭안에 대해 최종합의했다. 다만 안현호 지부장이 정년연장을 공약으로 내세우는 등 강한 의지를 지닌 만큼 이를 사측에 지속 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측이 최근 이례적으로 전기차의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기 위해 생산능력을 강화하기로 결정했지만, 노조는 불충분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대차 노사는 전날 진행한 임금협상 15차 교섭을 통해 생산직·기술직 신규채용, 국내 전기차 전용 생산공장 신설 등에 합의했다. 현대차는 이에 따라 내년 상반기 해당 직군의 신입사원을 채용하고, 오는 2025년 전기차 전용 생산공장을 신설한 뒤 가동 개시할 계획이다.

노조는 “신규 채용과 국내 공장 건설 등에 대해 환영한다”면서도 “다만 이번 합의 사안에 임금성은 부족하다”고 밝혔다.

한편 현 정부는 인구절벽, 노령화 시대 등을 고려해 정년연장 카드를 눈여겨보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기획재정부는 지난달 20일 내놓은 ‘새 정부 경제정책방향’ 자료를 통해 고령자 계속 고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한 과제로 제시했다. 정년을 늘리거나 없애는 방안으로 경제활동인구를 확충하고 축소사회에 대비할 수 있다는 취지의 내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