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화 <말모이>에서 조선어학회 대표인 류정환 역을 맡은 배우 윤계상. 출처= 네이버 영화

[이코노믹리뷰=박정훈 기자] 영화의 재미 혹은 상업성에 대한 평가는 일단 제쳐두자. 영화 <말모이>는 일제강점기의 탄압 속에 우리말과 글을 지켜내려고 했던 우리 조상들의 눈물겨운 이야기를 담아냈다. 영화가 취하려는 주제만으로도 충분히 시사하는 바가 있고, 메시지가 있다. 이 내용들을 받쳐주는 주연, 조연 배우들의 연기도 감동을 전하기에 넘치거나 부족하지 않았다. 

평론가들이나 혹은 다수의 관객들은 일제 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우리 조상들의 ‘투쟁’과 ‘신파’를 엮은 수많은 작품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뉘앙스로 영화 <말모이>에게 다소 박한 평가를 했다. 물론 영화가 어떤 면에서는 우리가 많이 봐 왔던 어떤 영화의 ‘클리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민족의 정신을 빼앗기 위해 말을 금지하는 탄압을 한 일제에 맞선 우리 조상들의 투쟁은 분명 ‘목숨을 내놓은 선택’이었다. 영화에서도 설명되지만, 실제로 일제의 탄압으로 조선어학회 사람들은 옥고를 치렀고 그중 2명은 일본 경찰의 고문 후유증으로 운명을 달리하기도 했다. 이는 영화가 눈물을 짜내기 위한 신파가 아닌 우리 민족이 겪어야했던 역사 속의 슬픔이다.       

<말모이>는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한국어의 근간이 되는 ‘우리말 큰 사전’을 만든 단체인 ‘조선어학회’ 사람들의 이야기다. 극중 조선어학회의 대표인 류정환(윤계상)은 뜻을 함께하는 동지들을 모아 전국 각지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단어’들을 모아 비교하고 표준어를 정해서 이를 반영한 사전을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말모이'는 전국 각지의 방언들로 다르게 표현되는 '말들을 모은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 배유 유해진의 역량은 <말모이>에서도 빛을 발한다. 출처= 네이버 영화

뜻하지 않은 악연으로 처음 류정환을 만난 김판수(유해진)는 조선어학회 사람들의 열정에 감화되고 그들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조력자가 된다. 모든 것이 순탄하게 진행될 것만 같았던 조선어학회의 사전 만들기 계획이 일제에 발각되면서 각종 방해를 받게 되고 류정환과 김판수는 우리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내 건 선택을 한다.    

<말모이>가 전하는 “말은 곧 민족의 정신”이라는 메시지는 교육적 차원으로도 그리고 가족단위 관객들이 함께 보고 감동을 느끼기에 충분한 작품인 듯하다. 영화가 강조하는 것은 우리 말의 ‘우수성’이 아니다. 그를 지켜내고자 했던 이들의 ‘눈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