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전 산업생산이 전월대비 1.6% 증가했다. 3월 1.8% 감소를 상당부분 만회한 것이다. 그러나 올해 들어 증가세가 주춤했던 것을 감안하면 기저효과에 의한 반등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민간 부문의 자생적 회복보다 정책에 의존한 부분이 컸다. 산업생산과 서비스업 생산보다 정책이 반영된 건설과 공공행정 부문이 회복을 주도했기 때문이다.

산업생산도 전월대비 0.8% 증가해 연초 이후 첫 반등을 나타냈지만 3월 산업생산이 전월대비 2.4% 급감한 점을 고려한다면 아직 충분한 회복으로 평가하기에는 미흡하다. 아직은 엔화 약세가 국내 제조업 생산 모멘텀에 부정정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일본과 수출 경합도가 높은 기계장비 생산을 제외하고, IT와 자동차 생산은 전월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환율이 7~8개월 시차를 두고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J-커브(J-curve) 효과를 감안할 때 엔화 약세가 2분기 이후 국내 주력 업종의 생산 모멘텀에 다소 부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일본의 대규모 자산매입 정책이 엔화 약세를 불러오고 있어 수출 부진이 쉽게 해소될 가능성도 낮아 상당 기간 생산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부진한 수요로 재고 조정이 빨리 마무리되지 못하고 있다. 4월까지 기업들은 재고를 3개월 연속 줄였지만 재고율은 115.7%로 1분기 평균대비 개선되지 못했다. 이에 재고 조정 압력은 당분간 생산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5월부터는 정부 정책 효과가 건설 투자 중심에서 소비와 기업 투자로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의 예산 조기 집행이 지속되는 가운데 2분기 말 일자리 증가와 설비투자 활성화 대책 등으로 내수 부양 효과가 점차 강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정부 경기부양책 및 글로벌 교역량 확대에 힘입어 하반기 이후 설비투자 증가율은 증가세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6월 기업투자 전망지수(100.0→ 101.8)가 작년 5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올해 국내 600대 기업의 투자 증가율은 작년보다 확대될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전문가들은 엔저 약세로 약화된 대외 수요를 보충해 줄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심리지수를 세부적으로 보면 경기에 대한 평가와 전망 개선이 선제적으로 소비 심리 개선을 이끌고 있다. 하지만 가계부채 부담이 상존해 있어 빠른 민간소비 확대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다만 3월 이후 제조업을 중심으로 고용 여건이 개선된 가운데 부동산과 설비투자 부문의 정부 경기부양책으로 소비심리가 개선되면서 하반기 점진적 소비 확대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