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문술 전 미래산업 회장이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해 쓴 글이 있다. 어느 날 우연히 당시 초등학교를 다니던 아들의 도덕교과서를 보게 되었단다.

그 교과서에는 ‘더불어 살아야 한다’, ‘약속은 반드시 지켜야 한다’, ‘정직해야 한다’, ‘겸손해야 한다’, ‘성실해야 한다’, ‘솔선수범해야 한다’, ‘희생할 줄 알아야 한다’ 등의 글이 가득 차 있었다는 것이다.

정 회장은 그 짧은 순간이 자신의 경영인생에 커다란 전환점이 되었다고 술회했다. 그러고는 그 이후로 줄곧 초등학교 도덕교과서가 시키는 대로만 회사를 운영하려고 애썼다는 것이다.

어린아이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에는 이처럼 지금 우리가 갖춰야 할 덕목이 모두 들어 있다. 마찬가지로 교과서에 나오는 동시 역시 우리가 갖춰야 할 수많은 창조 아이디어를 배울 수 있는 모든 필요충분요소가 담겨 있다.

이런 고로 필자는 이번 주부터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쓴 동시가 어떻게 창조로 연결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관찰 방법부터 알아보도록 하자. 관찰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을 자세히 살펴보는 행위를 일컫는다. 문제는 어떻게 자세히 보느냐는 것이다. 자세히 보라고 했으니 무작정 그냥 쳐다만 보는 게 아니다. 자세히 보는 방법이 있다.

우선 통합해서 봐야 한다. 나무를 관찰할 때 관찰 대상인 나무만 보는 게 아니라 주변의 다른 나무와 흙의 상태를 보아야 한다.

아예 바람의 속도나 나무들의 생김새를 한눈에 봐야 한다. 마치 사진을 찍듯 말이다. 통합된 이미지를 머릿속에 저장한 후 관찰 대상인 나무를 세세히 봐야 한다.

세세히 보는 방법은 나무를 여러 부분으로 조각내어 하나씩 하나씩 들춰보는 것이다. 줄기를 보고, 나뭇잎을 보고, 나무 기둥을 보고, 뿌리 등 나눌 수 있는 부분을 모두 나눠놓고 본다.

그러면 성장의 차이든 모양이나 크기의 차이든 다른 나무와의 차이를 발견하게 된다. 오늘 소개할 동시는 윤석중 선생의 <연못 속>이다. 이 동시는 초등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쓰기에 나오는 작품이다.

이 동시의 창작 순서는 이렇다. 우선 <연못 속>이라는 제목에서 보듯 연목 속에 비친 모습을 관찰한다. 그런데 연못 속에 비친 모습만 관찰하는 게 아니라 연못 밖의 모습까지 한꺼번에 관찰한다.

마치 위에서 아래를 바라보는 조감도처럼 그 주위를 몽땅 보는 것이다. 그러면서 연못 바깥 세상과 연못 안의 세상의 차이를 발견한다.

어떤 사람은 연못에 비친 모습을 아무런 의문 없이 지나치지만 관찰을 잘하는 사람은 연못에서는 세상이 거꾸로 보인다는, 즉 바깥 세상과 연못 속 세상의 차이를 본다.

이것이 관찰 방법이다. 그러고는 연못 속에 비친 여러 가지 모습을 토막내 들여다보며 서술한다.

사람이 거꾸로 걸어가고, 소도 거꾸로 간다. 나무도 거꾸로 돼 있고, 새도 고기처럼 헤엄쳐 다닌다는 것이다. 이것이 이 동시를 쓴 순서이자 관찰의 과정이다.

이것이 <연못 속>이라는 동시가 탄생한 배경이다. 연못과 연못 바깥 세상을 통째로 인식한 후, 관찰 대상을 부분적으로 잘라서 하나하나 들춰내 표현한 것이다.

사실 이것은 관찰의 기초다. 이후 또 다른 관찰의 방법이 있다. 다음 회에 이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황인원 시인·문학경영연구원 대표


키워드

#시와경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