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셔터스톡
출처=셔터스톡

금융당국이 장기카드대출(카드론) 관련 새로운 규제 도입을 준비 중인 것으로 전해지면서 카드업계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카드업계가 올해 상반기 호실적을 올리며 선방했지만, 연이은 규제와 빅테크와의 경쟁 등 성장 여력을 누르는 제반 상황이 이어지고 있어 업황에 대한 부정적 전망에 무게가 강하게 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규제發 파급효과에 수익성 쪼그라들어”

5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2금융권 내 4곳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가 추가로 카드론을 받지 못하게 하는 방안을 업계와 논의 중이다. 1금융권인 시중은행을 포함해 총 5곳 이상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경우도 카드론 이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당국과 업계는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한 ‘여신금융협회 모범규준’ 신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금리인상기를 맞아 다중채무자를 중심으로 한 차주 부실을 선제적으로 관리한다는 취지다. 이르면 올 3분기부터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 전언이다.

이에 업계 내에선 볼 멘 소리가 나온다. 신용판매와 더불어 카드사의 주요 사업부문인 대출업무에서 ‘카드론’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규제성격이 강한 가이드라인이 나올 경우 수익성 악화는 예정된 수순이라는 이유에서다. 연이은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본업인 신용판매 부문서 이익을 내기 힘든 구조로 접어든 상황도 이러한 반발의 주 배경으로 꼽힌다.

일각에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가 강화된 상황이라 해당 가이드라인이 적용되더라도 카드론 취급고에 미칠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카드론 이용 제한 대상으로 지목되는 다중채무자의 경우 DSR규제에 이미 해당돼 카드론을 이용하기 힘들 것이란 얘기다. 다만 이 마저도 규제발 파급 효과로 수익성 악화를 불러왔다는 전제에선 벗어날 수 없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실제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로 인해 카드산업의 수익성 및 이익창출력은 캐피탈산업 대비 하락했고 가계대출 규제 적용으로 카드론 등 카드대출 증가폭 역시 줄어들었다. 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카드업계의 대출성자산 중 카드대출(카드론+현금서비스)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5년 말 84%에서 올해 3월 말엔 67%로 하락했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DSR 규제로 다중채무자들의 카드론 이용 비율이 많이 줄었고 카드대출 1개월 이상 연체율은 1%대로 높지 않지만 금융당국에선 금리인상기 대비 선제적 리스크 관리 조치 중 하나로 해당 방안을 꺼낸 것 같다”며 “카드론은 중도상환수수료가 없고 절차가 간편하다는 점이 장점으로 꼽혔는데 향후 제한되는 소비자들의 경우엔 다른 대출상품을 찾아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도전적 영업환경, 자동차할부금융 비중 높이며 활로 모색할 것”

앞서 카드업계는 올 상반기 1조2000억원대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5%가량 상승한 실적이지만 올해 이후 전망은 어둡다. 호실적의 주요인이 ‘자체 비용 절감’과 ‘소비심리 회복’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전문가들은 향후 카드사들의 실적 악화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고 있다.

급격한 금리 인상으로 따라 오르는 조달 금리 상승분을 결제 및 대출부문 등 영업자산에 온전히 전가시키는 것이 어려워 영업마진이 축소될 수 있고, 하반기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소비심리가 위축된다면 호실적 유지는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윤기 한국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카드업계는 비우호적 영업환경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이익창출력 및 재무안정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이는 자체적 수익성 제고 노력의 영향”이라며 “지속된 가맹점수수료율 인하와 시장금리 상승, 간편결제 사업자와의 경쟁심화 등을 고려할 때 영업환경은 여전히 도전적이고 2022년 이후 수익성 전망은 다소 부정적”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여 수석연구원은 “카드업계의 대출영역 확장 노력이 지속되는 점과 DSR규제에 카드론이 포함되는 점 등을 살폈을 때 대출자산 포트폴리오 다변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며 “특히 자동차할부금융 등 비카드 사업부문의 비중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