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4년 4월 세계에서 5번 째로 운행을 시작한 고속열차 KTX가 올해로 개통 18주년을 맞았다.

코레일은 지난 18년간 경부선 등 KTX 8개 노선에서 8억 8,659만명이 승차하고 5억 5,465만㎞를 운행했다고 1일 밝혔다.

KTX 개통 18주년 인포그래픽.출처=코레일.
KTX 개통 18주년 인포그래픽.출처=코레일.

국민 한 사람당 17번 이상 KTX를 승차하고 약 4만km인 지구둘레를 1만 3,870바퀴 돌 수 있는 거리다.모든 승객이 이동한 거리를 합치면 2,262억㎞에 달하고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의 1,500배가 넘는다.

코레일은 지난 2004년 경부선과 호남선 KTX 운행을 시작으로 2010년 경전선(서울~진주), 2011년 전라선(용산~여수엑스포), 2015년 동해선(서울~포항), 2017년 강릉선(서울~강릉), 2021년 중앙선(청량리~안동), 중부내륙선(부발~충주) 등을 개통했다.

최고 속도 300㎞  KTX 등장으로 서울과 주요 도시를 2시간대 연결하며 전국이 반나절 생활권이 됐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2시간 15분, 포항까지 2시간 16분, 마산까지 2시간 57분, 강릉까지 1시간 49분이면 가능하다. 용산에서 광주송정까지 1시간 30분, 여수엑스포는 2시간 44분 걸린다.

지난해 새로 도입한 국내 최초의 동력분산식 고속열차 KTX-이음은 청량리에서 제천까지 1시간, 안동까지는 2시간이면 이동이 가능하고 부발(이천)에서 충주까지는 단 35분만에 이동할 수 있다.

KTX 하루 운행횟수는 주말기준 358회로 개통 초기 132회에 비해 2.7배 이상 증가했고 20개였던 KTX 정차역은 66개로 늘었고 운행노선도 2개에서 8개로 확대됐다.

하루 이용객은 7만 2,000명에서 지난 2019년 18만명으로 2.5배까지 늘었으나 2020년부터 지속된 코로나 상황으로 지난해에는 일평균 13만 8,000명 수준에 그쳤다.

하루 이용객 수가 가장 많은 역은 5만 5,000명(2021년 기준)인 서울역으로 나타났고 이어 동대구역이 일평균 약 2만 4,000천명, 광명역이 2만명 순으로 집계됐다.

모바일과 연계한 승차권 구입도 편리해졌다.현재 85.5%가 모바일 앱 ‘코레일톡’ 등 비대면으로 발권한다.지난 2020년 추석부터는 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명절 승차권 예매를 인터넷, 모바일앱, 전화 등 100% 비대면으로 전환했다.

코레일은 코레일톡 설치 또는 네이버, 카카오톡 등 고객이 자주 이용하는 포털과 플랫폼에서도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도록 제휴 채널을 확대했다.

KTX 고객은 모든 좌석에서 휴대폰과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 충전용 콘센트와 USB 포트를 이용할 수 있다. 무료로 제공되는 무선인터넷 서비스는 오는 7월부터 속도가 3배 빨라진다.

한편 하루 최대 45대의 KTX에 무증상 해외입국자를 위한 별도 전용칸을 운영해 지난 2년간 26만 5,000여명을 안전하게 격리 수송했다.

나희승 코레일 사장은 “KTX의 300km 속도는 시간과 공간을 압축한 가운데 관광과 비즈니스 등 새로운 생활권을 탄생시키고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해 대한민국 대표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