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이코노믹리뷰 DB

[이코노믹리뷰=노성인 기자] 한국과 미국의 전문가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전 세계가 민족주의와 보호무역주의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이런 새로운 질서에 대응하기 위해 교육, 외교, 무역 등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8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국제정책대학원은 지난 5일 화상으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계질서의 변화'를 주제로 한·미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에는 유종일 KDI국제정책대학원장, 임원혁 KDI국제정책대학원 교수가 한국 측 토론자로 참석하고, 스테판 해거드 미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캠퍼스 교수와 켄트 콜더 미 존스 홉킨스 대학교 고등국제대학원 동아시아연구센터 소장이 미국 측 토론자로 참석했다.

유 원장은 "미·중 갈등이 격화하는 가운데 한국이 처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외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19 이후 폐쇄적인 민족주의 성향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라면서 "코로나19뿐 아니라 기후 변화, 경제 위기 극복 등 글로벌 공동과제 해결을 위한 국가 간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유 원장은 “향후 고등교육 정책도 큰 변화에 직면할 것"이라며 "개도국은 기술과 인프라 부족으로 온라인교육이 원활하지 않은 상황이다”라며 “(우리나라도) 취약계층의 고등교육 기회 박탈을 막기 위한 노력과 함께 대면 교육과 온라인 비대면 교육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교육을 점진적으로 시도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켄트 콜더 소장은 "미·중 위주의 패권 경쟁을 넘어 새로운 형태의 글로벌 거버넌스를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제 무역은 정치·사회적으로 큰 변화를 보일 것"이라며 "전 세계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돼 주요국들은 리쇼어링(생산시성 국내로 이전)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했다.

스테판 해거드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해 사망자 수 증가와 과거 신흥국 시장의 금융위기가 예상되면서, 선진국도 심각한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라며 "세계는 완전히 새로운 질서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라고 전망했다.

그는 “정부 역할 공공보건과 개인의 자유추구권리 조화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임 교수는 "2015년 메르스 사태 초기대응 실패 경험에서 얻은 교훈을 바탕으로 향후 코로나 대응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면서 새로운 국제질서 속에서 국가 간의 협력체계 구성이 중요성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