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경제인연합회 여의도 사옥 사진=FKI 캡쳐

[이코노믹리뷰=권일구 기자]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기업의 투자 및 창업률이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기업가정신 지수도 하락을 면치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 기업가 지수의 하락은 곧 기업의 성장의지가 약화됐다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규제 완화 등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문화요인, 제도요인, 경제의지, 기업활동, 공공부문 등을 종합해 기업가정신 지수를 산출한 결과, 기업가 정신이 1980년대 대비 2010년대에 절반수준으로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 한국의 기업가정신 지수 변화 추이(1981년 ~ 2018년) 자료=통계청, GEM 등 자료 기반으로 직접 계산

기업가정신 지수는 ▲기업호감도, 기업가 직업선호 등 문화요인 ▲경제제도 수준 등 제도요인 ▲경제활동참가율, 공무원 시험 경쟁률 등 경제의지 ▲창업률, 대기업 비중 등 기업활동 ▲법의 지배지수, 국회 발의법안 건수 등 공공부분, 총 5개 부문 14개 항목을 조사해 종합한 결과이다.

전경련이 지난 1981~2018년의 기업가정신 지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지수가 ▲1981년 183.6 ▲2018년 90.1로 37년 새 절반 이상 하락했다.

이를 약 10년 단위로 기업가정신 지수 추이를 살펴보면 ▲1981년~1990년 158.6을 기록한 이후 ▲1991년~2000년 100.8 ▲2001년~2010년 85.4 ▲2011년~2018년 88.2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10년대 평균 기업가정신 지수(88.2)는 1980년대(158.6) 대비 약 44% 하락했다.

기업가정신 지수가 절반 이상으로 떨어진 데에는 기업활동과 공공부문 지수의 하락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전경련은 설명했다.

특히 대기업 비중은 1981년 약 7%에서 2018년에는 1%대로 하락한 반면, 인구 10만 명당 사업체 수는 조사가 시작된 1993년 약 352.7개에서 2018년 654.6개로 크게 증가했다.

전경련은 “사업체 수는 증가하는 반면, 대기업 비중은 하락한다는 것은 기존 기업의 성장의지가 약화되었다는 방증이다”고 주장했다.

공공부문 지수중에서는 발의법안 건수가 대폭 증가한 것이 기업가정신 지수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 실제로 법안 발의 수는 ▲11대 국회(1981년~1985년) 491건 ▲20대 국회(2016년~2020년) 24,014개(4/22 기준)로 약 49배 증가했다.

이와 관련해 전경련은 “국회는 경제활동 규칙을 정하고 변경할 권한과 책임이 있는데, 과도한 법안 발의로 인해 불필요한 규제가 다수 양산되어 기업가정신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1991년~2000년의 기업가정신 지수가 대폭 하락했는데, 이는 모든 구성요소의 악화에 기인한다. 경제의지 부문에서는 1991년 약 100대 7을 기록한 공무원 경쟁률은 2000년 100대2 수준으로 급등했고, 공공부문에서는 발의법안 수가 제14대 국회(1992년~1996년) 902개에서 제15대 국회(1996년~2000년) 1,951개로 2배 이상 상승했다는 것이다.

기업활동 부문에서는 대기업 비중이 1990년 약 2.5%에서 2000년 약 1.1%로 하락했다. 1997년 IMF 경제위기 직후인 1998년에는 기업가정신 지수가 76.7로 조사기간 중 최하위 수준을 기록했다.

전경련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급격하게 기업가정신 지수가 하락할 우려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미 한국의 대기업 비중은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이며 20대 국회의 발의법안 수는 2만4,014개로 역대 최대인데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기업투자 및 창업률 하락 등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기업가정신의 하락은 경제위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규제완화를 통한 친기업적 경영환경 조성, 기업규제 법안의 신중한 발의, 기업가에 대한 인식 제고 등 기업가정신 제고를 위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경련 유환익 기업정책실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세계경제가 침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 기업가정신의 발현이 절실하다”며 “미증유의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 기업 등 모든 경제주체가 기업가정신 제고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