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택시 카풀 사회적 대타협 기구의 합의안 도출로 카풀을 둘러싼 논란이 잦아든 가운데, 쏘카의 VCNC 타다를 둘러싼 11인승 밴 기반 모빌리티 플랫폼을 두고 전운이 감돌고 있다. 22일 업계 등에 따르면 합의안 도출 후 팽배했던 각 진영의 분열이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전선 자체가 복잡하게 꼬이는 분위기다.

특히 카카오 모빌리티가 택시업계와 함께 타다 비즈니스와 비슷한 전략을 준비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카카오와 이재웅 쏘카 대표의 행보에도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 박재욱 대표와 이재웅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이코노믹리뷰 임형택 기자

합의안 이후
3월 정부 여당이 주도한 사회적 기구에서 카카오 모빌리티는 ICT 업계를 대표해 택시업계와 접점을 찾았다. 법인택시 기사의 처우개선 및 카풀의 제한적 운용, 플랫폼 택시 활성화가 핵심이다. 이를 기점으로 양측의 정면충돌 양상은 잦아드는 분위기를 연출했다.

극단적인 대결 분위기는 사라졌으나 이는 표면적이며, 각 진영의 분열도 가속화되기 시작했다. 법인택시 기사와 회사는 기사 월급제 등 처우 개선 문제를 두고 충돌하기 시작했으며 카풀의 제한적 허용을 용인한 카카오 모빌리티를 두고 카풀 스타트업과 VCNC의 반발도 커졌기 때문이다. 카풀의 제한적 허용은 다양한 모빌리티 플랫폼을 가진 카카오는 일부 받아들일 수 있는 여지가 있으나, 카풀 하나만 보고 있는 스타트업에게는 재앙 그 자체다. 타다는 카풀 플랫폼이 아니지만, 이 지점에서는 카풀 스타트업과 주장을 함께하고 있다.

진영 분열 및 전선의 고차 방정식이 이어지는 가운데 개인택시 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법인택시 기사와 달리 사회적 기구 합의안 사각지대에 놓인 개인택시 업계는 카풀의 제한적 허용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이며, 쏘카 VCNC의 타다 반대 방침도 분명히 했다. VCNC의 타다가 개인택시 기사의 생존권을 박탈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타다의 불법성을 논하며 실력행사에 나서기 시작했다. 21일 개인택시업계는 더불어민주당 당사 앞에서 집회를 열어 정치권을 압박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사회적 기구 합의안에 나오는 3가지 화두 모두 '실패'했다고 본다. 법인택시 기사의 처우 개선은 회사와 기사들의 줄다리기가 지금까지 이어지며 결론이 나오지 않고 있고 카풀의 제한적 허용에 대해서는 풀러스 등 카풀 스타트업의 반발이 여전하기 때문이다. 합의안이 발표됐으나 이는 또 다른 고통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다는 평가다.

플랫폼 택시도 마찬가지다. 웨이고 등 일부 성과가 나오고 있으나 카카오 모빌리티가 택시업계와 함께 11인승 밴 플랫폼 기반의 모빌리티 전략을 구사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전운이 고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카카오 모빌리티가 카풀의 제한적 허용을 이끌어 자사에만 유리한 방침을 세웠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으며, 그 연장선에서 타다가 개척하고 있는 11인승 기반 밴 플랫폼 모빌리티 시장을 넘보려는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논란이 현재 진행형인 이유다.

타다는 달릴 수 있을까
개인택시 업계의 강력한 압박을 받고있는 VCNC의 타다는 카카오 모빌리티를 중심으로 하는 택시 연합군의 파상공세도 막아야 할 처지에 몰렸다. 이는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최초의 IT 대기업으로 인정받은 카카오의 스타트업 시장 침탈로 해석되는 한편, 카풀의 제한적 허용을 용인한 카카오 모빌리티에 대한 우려로 이어진다. 다음 창업주인 이재웅 쏘카 대표 입장에서는 친정인 카카오의 역습에 일격을 허용한 셈이다.

다만 카카오 모빌리티가 택시업계와 연합해 플랫폼 택시 전략 일환으로 11인승 밴 모빌리티 플랫폼을 가동하는 것은 '당연한 로드맵'이라는 주장도 나온다. 11인승 밴을 통해 기사를 수급하며 쾌적한 이동을 보장하는 타다 비즈니스가 VCNC의 전유물은 아니기 때문이다. 이미 파파 등 유사 서비스가 나오는 한편 차차 크리에이션도 차차 밴과 같은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그 연장선에서 카카오 모빌리티가 자사의 성격에 맞는 모빌리티 전략을 구사하고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국내 모빌리티 시장의 팽창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