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년 신혼부부가구 주거실태. 출처=국토교통부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내집을 마련한 신혼부부 비중은 늘어났지만 수도권 중심으로 여전히 내 집 마련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6~12월 표본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주거실태조사 결과 신혼부부의 자가점유율이 48%를 기록했다고 17일 발표했다.

국토부 조사결과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국민들의 주거 수준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중이 2017년 5.9%에서 2018년 5.7%로 감소하고 1인당 주거 면적이 2018년 31.7㎡로 지난해 31.2㎡ 대비 소폭 증가하는 등 주거 수준이 개선됐다.

전국적인 전월세 시장의 안정세로 임차가구의 RIR(월소득 대비 월 임대료 비중)이 2017년 17%에서 2018년 15.5%로 감소하는 등 임차가구의 주거비 부담도 완화됐다.

아울러 주거복지로드맵, 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방안 등을 통해 청년·신혼부부 맞춤형 주거지원이 강화되면서 이들의 주거 문제도 일부 개선되기 시작했다.

청년 가구는 지하·반지하·옥탑 거주 비중이 감소(3.1→2.4%)하고,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의 비중(10.5→9.4%)도 감소하는 등 주거 여건이 개선됐다.

신혼부부는 내 집 마련 기회가 확대되면서 자가점유율이 큰 폭으로 증가(44.7→48.0%)하는 등 주거 안정성이 강화됐다.

정부는 수요자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의 효과가 일부 체감되기 시작한 만큼, 앞으로도 주거복지로드맵 등에 따른 주거지원을 차질 없이 이행함으로써 국민이 보다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수도권 중심으로 여전히 내 집 마련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인 주택시장 안정세로 전국의 PIR(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은 2017년 5.6배에서 2018년 5.5배로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 국지적 과열이 발생하였던 수도권은 2017년 6.7배에서 2018년 6.9배로 소폭 상승했다.

다만, 9.13 대책 등으로 수도권의 집값은 지난해 12월부터 하락하기 시작한 점을 감안하면 최근의 시장 안정세가 조사 결과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9.13 대책 이후 수도권 집값은 12월 첫째 주부터 하락하기 시작해 23주 연속 하락하는 등 시장이 빠르게 안정세를 회복하고 있다.

정부는 집이 없는 실수요자들이 집을 살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도록 9.13 대책 이후의 주택시장 안정세가 오랜 기간 보다 견고하게 유지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안정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면서 “이번 조사를 통해 파악된 국민들의 주거실태 조사결과를 향후 국민의 주거안정과 주거복지 수준 향상을 위한 정책 등에 적극 반영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