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동규 기자] 정부가 시스템반도체 산업 육성을 통해 2030년까지 종합반도체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5대 중점대책을 30일 발표했다. 5대 중점대책은 팹리스, 파운드리(위탁생산), 생태계, 인력, 기술 분야다. 정부는 5대 중점 대책을 통해 2030년까지 파운드리 세계 1위, 팹리스시장 점유율 10%달성, 2만 7000명의 신규일자리를 만들 계획이다.

정부는 우선 팹리스업계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 분야에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치기로 했다. 팹리스는 공장이 없이 반도체 설계를 주력으로 하는 반도체 기업을 말한다. 정부는 수요발굴, 기술기획, 연구개발까지 공동 추진을 팹리스와 수요기업간 협력 플랫폼(얼라이언스 2.0)을 통해 실현키로 했다. 얼라이언스 2.0은 정부, 반도체 수요·공급기업, 연구기관 등 25개 기관간 MOU체결로 발족됐다. 얼라이언스에서 발굴된 유망기술은 정부 연구개발(R&D)에 우선 반영된다. 2030년까지 2400억원 이상의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목표다.

파운드리 전략으로는 대표기업은 하이테크 첨단분야에서, 중견기업은 중급 미들테크 틈새시장을 동시 공략하고, 정부는 기업의 투자를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로 했다. 전력반도체, 아날로그반도체 등 틈새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5G·AI·바이오와 같은 첨단분야에서도 시스템반도체 기술을 신성장동력·원천기술에 반영해 기업의 대규모 투자와 신기술 개발에 대한 세액 공제를 실시키로 했다.

팹리스와 파운드리 상생협력 생태계 조성을 위해 생태계 조성에도 신경쓴다. 업계는 MPW(Multi Project Wafer)이용시 물량제한, 셔틀운영 등을 개선해 공정별 적용 횟수를 확대한다. 정부는 팹리스와 파운드리간 가교역할을 하는 디자인하우스에 설계 최적화 서비스인프라(소프트웨어 등)를 지원한다.

고급 전문인력도 2030년까지 1만 7000명을 양성한다. 2021년부터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에 반도체 계약학과를 신설하고, 시스템반도체 전공트랙도 신설키로 했다. 학사 학생 수는 3400명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석박사급 인력은 4700명 양성을 목표로 기업수요기반 연구개발(R&D)을 통해 석박사 인력 공급, 융합형 고급전문인력 및 산학연계형 석박사 양성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실무교을 통해서 8700명의 인력도 양성한다. 안성에 위치한 폴리텍대학을 반도체 특화형으로 전환해 반도체 설계교육센터(IDBC·IC Design Education Center)지원 확대, 대학의 노후화된 장비 업그레이드로 실습교육의 질을 개선키로 했다.

정부는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향후 10년간 1조원 이상 투자 및 해외기술유출을 방지키로 했다. 자동차, 바이오, AI반도체 등 제조업 미래를 견인할 차세대 반도체 분야에서의 핵심원천·응용기술 개발과 기술 보호에 신경쓴다는 것이다.

유망기술에 대해 향후 10년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합동으로 1조원을 투자해 원천기술부터 응용기술까지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과기부는 2020년부터 2029년까지 4800억원의 예산을, 산자부는 2020년부터 20206년까지 52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기술보호를 위해서는 국가핵심기술이 포함된 정보 비공개를 추진하고, 5G 통신 모뎁칩 설계기술 등을 국가핵심기술에 신규 포함 추진하는 등 시스템을 정비키로 했다. 

한편 이날 문재인 대통령은 경기도 화성 삼성전자 사업장을 방문해 '대한민국 반도체 비전'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전략은 메모리반도체 분야 세계 1위를 도약대로 삼아 새로운 도전에 나서는 것"이라면서 "한국 제품에 첨단을 넘어 미래를 담는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삼성전자도 2030년까지 133조원을 투자해 파운드리 세계 1위 도약 목표를 밝혔다"면서 "원대한 목표 설정에 박수를 보내며 정부도 적극적으로 돕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