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국내 통신업계가 5일 본격적인 5G 상용화에 돌입했으나, 5G 요금제를 둘러싼 논란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라는 타이틀에만 집착하며 진짜 중요한 서비스의 질적인 제고가 이뤄지지 않는다는 비판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5G 요금제를 둘러싼 논란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KT가 최초 무제한 5G 요금제를 선언한 후 빠르게 가입자를 모으는 가운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도 속속 무제한 5G 요금제를 발표하며 맞불을 놨다.

다만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프로모션의 형식을 빌렸기 때문에 진정한 5G 무제한 요금제는 아니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후 통신3사의 마케팅이 불을 뿜는 가운데 최초 5G 무제한 요금제를 선언한 KT가 진정한 무제한 요금제가 아니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하루 데이터 사용량 제한을 걸어두고 5G 무제한 요금제라는 마케팅에 나섰기 때문이다. 결국 KT는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5G 요금 이용자 약관 개정을 신고했다. 이후 LG유플러스도 비슷한 행보를 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정부의 5G 플러스 전략이 보인다. 출처=과기부

한편 정부는 8일 5G 플러스 전략을 공개하며 2026년 생산액 180조원, 수출 730억달러, 일자리 60만개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세계 최초 5G 상용화를 바탕으로 막대한 경제 효과 창출을 공언한 셈이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5G의 기본인 요금제를 둘러싼 논란이 벌어지는 상황에서 정부가 ‘지나치게 앞서가는 것 아니냐’는 불만도 감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