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이성규 기자] 기업은행이 사상 최대 순이익을 달성했다. 여전히 은행부문의 이익기여도가 높지만 비은행부문 성장이 상당히 가파르다. 시중은행들이 M&A 등을 통해 비은행부문을 강화한 것과 비교하면 주목할 만한 성장이다.

중소기업대출 위주로 구성된 만큼 대출금리가 높은 가운데 직접금융을 통해 조달금리를 낮췄다. 부실기업 발생에 대한 우려도 존재하지만 꾸준한 자본확충을 통해 안전판을 확보 중이다.남은 숙제인 비은행 부문의 추가 경쟁력 강화에 이목이 쏠린다.

▲ 기업은행 실적(연결 기준) [출처:금융감독원 전자공시]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기업은행의 지난해 매출액(연결기준)은 17조8714억원이다. 전년동기대비 7.5% 감소한 수치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18.1% 오른 2조3964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17% 상승한 1조7643억원으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이 기간 동안 순이자수익은 7.1%(+3723억원) 증가했다. 자회사 이익과 비이자이익 등이 영업이익을 높이는데 크게 기여(89.4%↑)한 셈이다. IBK캐피탈, IBK투자증권 등 관련 계열사의 성장이 눈에 띈다.

기업은행을 포함한 전체 계열사 대비 은행부문이 순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80%를 넘는다. 다만, 여타 시중은행은 인수합병(M&A)을 통해 비은행 부문 몸집을 키웠다. 이를 감안하면 기업은행의 성장은 더욱 돋보인다.

이자수익 부문에서는 중소기업대출을 더욱 늘렸다. 과거 가계대출 부문이 순익에 크게 일조했던 것과는 달라진 분위기다.

기업은행은 시중은행 대비 높은 수준의 순이자마진(NIM)을 보여왔다. 중소기업 위주 대출구성으로 대출금리가 높은 반면, 직접금융을 통해 조달 금리가 낮아진 탓이다.

중소기업대출 시장점유율은 22% 내외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 지난 2017년부터 시중은행들이 중소기업대출을 확대하면서 점유율이 다소 밀리는 것처럼 보인다.

▲ 출처:한국신용평가

김선영 한국신용평가 연구원은 “시중은행이 기업은행의 중소기업대출을 잠식한 것은 아니다”라며 “지방 우량 기업 위주로 관련 대출이 확대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전체 중소기업대출 규모는 지속상승하고 있다. 성장률은 낮아졌지만 관련 대출 시장은 확대되고 있는 셈이다.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지원 등 정책을 감안하면 기업은행의 역할은 더욱 넓어질 전망이다.

기업은행은 중금채 위주의 조달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특수은행으로 시중은행과 달리 예대율 규제(한도 100%)를 받지 않는다. 지난해 9월말 기준 예대율은 221.5%에 달한다. 선순위사채 조달비중은 35.8%로 일반은행 대비 시장자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조달 상 불안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자본금과 적립금의 20배에 달하는 중소기업금융채권 발행 한도, 정부와 공공기관 등으로부터 정책자금 차입여력 등 안정적 조달원을 확보하고 있다. 원화예수금 중 핵심예금 비중은 꾸준히 상승했다. 지난해 9월말 기준 76.1%를 기록했다. 높은 저금리 예금비중은 자금조달의 안정화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기업은행은 높은 NIM에도 시중은행 대비 대손부담이 커 총자산이익률(ROA)은 시중은행과 크게 차이가 없다. 지난해 말 기준 대손충당금전입액이 9.7% 줄면서 수익성 지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 기업은행 대출별 추이 [출처:한국신용평가]

긍정적 측면만 있는 것은 아니다. 총여신 대비 신규 부실여신 발생비중은 2016년 이후 하락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2017년말부터 금리상승 전환으로 재무구조가 열위한 중소기업 부실 발생이 늘었다.

특히 정부의 주택규제 정책으로 부동산업 여신의 부실확대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 다만, 기업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은 대부분 다수의 소액 건으로 구성돼 있어 신용위험은 분산돼 있다. 신용대출보단 담보대출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위험도를 낮추는 요인이다.

기업은행은 지속적인 자본확충, 신종자본증권·조건부자본증권 발행과 함께 안정적 이익을 창출하면서 지난해 9월말 기준 BIS자기자본비율은 14.6%를 기록했다.

보통주자본비율은 10.3%로 시중은행(13.6%)과 지방은행(11.7%) 대비 낮은 수준이다. 최근 기획재정부를 대상으로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하는 이유로는 자본적정성 관리가 지목된다. 중소기업대출 확대가 불가피한 만큼 리스크 관리에 주력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