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박기범 기자]  3월에 개시되는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해 기획재정부는 3월 중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5G 플러스(+)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발표한다.

20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제2차 혁신성장전략 회의 겸 제7차 경제관계장관회의' 모두 발언에서"5G 상용화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라고 강조하며 "이동통신 단말기, 스마트공장·자율차 등 전후방 산업과 융복합을 통해 연관 산업 활성화 및 신서비스 창출을 적극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 등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다음 달 중 가칭 5G 플러스(+) 추진전략을 수립·발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기획재정부MI. 출처=기획재정부

기재부는 부처별 연관 분야 사업에서 5G를 선도적으로 활용하기는 요청했다. 또 공공수요 창출 및 5G를 기반한 신산업 전략투자 등도 범정부 차원에서 관심을 갖고 지원을 요청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5G 활성화 전략적 추진계획 ▲금융결제 인프라 혁신방안 ▲스마트 선도산단 선정결과 및 추진방향 ▲8대 핵심 선도사업 세부 추진계획 등이 논의됐다.

'5G 활성화 전략적 추진계획'은 ’내달 세계 최초로 개시되는 5G 상용화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한 것이다.

그 결과 올해 통신3사에서 3조원 이상의 투자를 할 것으로 예상된다.

▲ 전후방 사업 연결. 출처=기획재정부

 

4차 산업 DNA, 5G 상용화부터

홍 장관은 ""데이터(Date)·네트워크(Network)·인공지능(AI) 등 소위 DNA를 중심으로 촉발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키워드는 속도, 연결, 융합이다"며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을 강조"했다.

방대한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초고속)하고 실시간(저지연)으로 모든 것을 연결(초연결)하는 5G 상용화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 인프라다.

정부는 ICT 산업 자체가 물론, 제조·운송, 보건·의료, 재난·안전 등 산업간 융합과 혁신을 촉발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내달 세계 최초로 출시 되는 5G 스마트폰 등 5G 이동통신 서비스가 개시될 경우 실감교육, 디지털 헬스케어 등에까지 전면 활용될 것으로 예상했다.

▲ 실감형 교육 등 5G활용 계획. 출처=기획재정부

 

그동안 정부는 ▲5G 주파수 조기할당 ▲R&D 투자 확대 ▲5G 망구축비 관련 최대 3% 세액공제 신설 등 5G 상용화 기반조성에 힘써 왔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2020년까지 863억원을 들여 기업의 5G 기반 수익모델 발굴과 확산을 지원하기 위해 ‘5G 융합서비스 실증사업’ 추진하고 있다.

5G 융합서비스 실증사업은 자율주행·스마트공장·스마트시티·재난/안전·미디어 등 5대 분야에서 5G를 기반한 융합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사업모델 발굴부터 개발, 실증까지 모든 주지의 R&D 지원한다.

한편 정부는 ▲핵심 기술력 확보 ▲혁신생태계 조성 ▲변화에 선제 대응 등 크게 세 가지 방향에서 4차 산업에 관한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기재부 관계자는 "기초 과학부터 8대 선도사업 등에 이르기까지 R&D의 획기적인 투자 등 핵심 기술력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인재양성과 과감한 규제혁신을 통해 산업인프라 구축 및 혁신생태계 조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4차 산업혁명에 따라 산업구조 뿐만 아니라 고용형태, 인재수요, 사회적 니즈의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고용·교육·복지 등 사회적 인프라를 정비해 ‘미래사회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5g 융합 서비스 실증 사업. 출처=기획재정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