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진후 기자] 서울의 3기 도시철도망 계획이 발표됐지만 환영의 반응은 전보다 덜한 분위기다. 지금까지 교통망에 있어 낙후된 강북 지역을 중심으로 계획 예정지가 잡히면서, 집값 등에 호재로 작용하는 ‘드라마틱’한 장면이 아직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곱씹어보면 ‘시민의 발’로 기능하는 교통망 그 자체보다 부수적인 요소 때문에 환영받는 세태는 기이하다.

기이한 장면은 또 있다. 서울시가 2월 20일 발표한 ‘제2차 도시교통망 구축계획안’에 포함된 ‘9호선 4단계 추가연장선’이 그 무대다. 해당 노선은 계획안 발표 전 제외 여부를 두고 내홍을 겪었지만 이번에 가까스로 계획에 담겼다. 단 하남과 함께 광역교통계획에 포함된다는 조건이 달렸다.

문제는 이 논의의 과정이 석연치 않았다는 데 있다. 당초 강일동까지 연결하는 하나의 역은 경제성 부족으로 판단되면서 이번 계획에서 제외된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계획안 논의 과정에서 서울시가 노선 연장을 인질로 임대주택 추가 배정을 노리고 있다는 소식도 들렸다. 지역 중개사는 “이미 재건축 조합엔 공문이 내려온 상태”라면서 기정사실화했다. 경제성 부족이 요인이라는 서울시 측 설명이 무색해진 순간이다. 그동안 강일동뿐 아니라 하남시민들도 마음을 졸여야 했다. 강일동역이 무산되면 하남 연장선의 미래도 불투명해지면서, 지금 겪고 있는 교통난을 최소 15년 이상 겪을 생각 때문이다. 뿔난 지역 주민들과 정치인 등은 지난 18일 서울시청 앞에서 궐기대회를 열고 반대의 목소리를 높였다.

정무적 ‘거래’가 오가면서 교통망이라는 가치가 전도된 셈이 됐다. 서울의 주택 수급 부족도 중요 문제라지만, 출퇴근 혼잡이 일상이 된 시민들은 뒷전이었다. 발이 발목을 잡았다.

반면 고시된 계획안은 간단한 방백으로 답변했다. “하남시와 연결하면 경제성이 나올 것 아니냐?” 현 정부가 교통의 ‘사회적 효과’를 중시한다는 명분도 보기 좋게 등장했다. 결과를 두고 정치인·시지자체는 서로 공치사에 바빴다. 시민들은 안도의 한숨을 쓸어내리면서도, 이 부조리극에 박수를 보내야 하는지 어리둥절하다. 애당초 이 각본에서 주인공은 누구였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