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미중 무역전쟁이 벌어지며 트럼프 행정부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고있는 중국 통신 네트워크 업체 화웨이가 최근 반격에 나서고 있다. ‘반 화웨이’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더 이상 당할 수 없다”는 의지가 읽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최근 자사 홈페이지에 질의응답 페이지를 조성, 일각의 보안 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미국이 화웨이와 중국 정부의 유착을 의심하며 소위 백도어 논란을 지속적으로 키우는 가운데, 이에 대한 일종의 반박 카드인 셈이다. 나아가 각 국에서 광고를 통해 화웨이의 보안 우려를 불식시키려 노력하고 있다.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도 최근 공개 기자회견을 자처해 의혹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런 회장은 “화웨이는 독립적인 민간 기업체이다. 우리는 30년동안 170여 개국과 30억명의 인구에게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했고, 그동안 사이버 보안 문제가 일어난 일은 없었다"면서 "사이버보안 및 개인 정보와 관련해 애플의 사례를 본받고 있다. 고객들의 이익에 해를 끼치는 행위를 하기보다는 차라리 회사 문을 닫는게 낫다"고 말했다.

▲ 런정페이 화웨이 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출처=화웨이

일부 지역에서 화웨이의 입장을 지지하는 목소리도 감지된다.

호주의 통신 및 IT기업인 TPG텔레콤의 회장 데이빗 테오(David Teoh)는 최근 호주 내 4번째 모바일 네트워크의 출범 계획 취소를 발표하면서, 호주 정부가 5G 네트워크에 화웨이의 참여를 배제한 것을 비난했다.

영국의 통신그룹 BT에서도 비슷한 목소리가 나왔다. BT의 컨슈머 브랜드 부문 CEO인 마크 알레라는 1월 28일 CNN과의 인터뷰에서 "화웨이와 협력해 온 여러 해 동안 우려할 만한 일은 아직 없었다"면서 “현재 제기되고 있는 모든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모든 관련 기관들과의 협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 정부통신본부(GCHQ)의 수장이었던 로버트 해닝언도 지난 13일 언론 기고를 통해 서방이 차세대 이동통신(5G) 네트워크에서 화웨이의 장비를 배제하는 것은 사이버 보안과 5G 네트워크 설계의 복잡성에 대한 기술적 이해도가 낮기 때문이라고 비판했다. 일부 동남아시아 시장에서는 여전히 화웨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화웨이의 반격이 시작되는 한편 일부 지역에서 미국 중심의 반 화웨이 전략에 제동을 거는 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으나, 아직 상황은 낙관적이지 않다. 미국 통신업체 T모바일의 존 레기어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화웨이는 물론 중국 ZTE의 장비까지 사용하지 않겠다고 말했으며 12일에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 장관까지 나서 동맹국들에게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지 말라고 말했다. 미국이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과 그 자회사를 기소하고, FBI까지 나서 화웨이의 반도체 기술 탈취를 수사하면서 분위기는 더욱 나빠지고 있다.

한편 화웨이 논란이 커지며 LG유플러스도 코너에 몰렸다.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웨이 장비에 이상이 없다는 입장이지만, 중국 정부와의 유착설을 내세우는 국내 가입자들의 불만과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상철 전 LG유플러스 부회장의 화웨이 고문행까지 거론하며 논란이 증폭되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