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홍석윤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미중 무역협상 시한인 다음달 1일 이전 만나지 않을 것 같다고 미 언론들이 7일 보도했다.

CNBC는 "시 주석은 지난 1월 31일 트럼프 대통령에게 보낸 친서에서 2월 북미 정상회담 직후 중국 하이난성에서 정상회담을 하자고 제안했지만, 백악관 관계자들이 중국과 북한 문제를 병합하지 않는 쪽으로 조언을 했다"고 보도했다.

북미회담 직후 미중회담을 열 경우 준비 시간 부족으로 트럼프 행정부가 요구하고 있는 '중국의 포괄적인 변화'를 이끌어내지 못할 수도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7일 폭스비즈니스와의 인터뷰에서 "무역협상이 합의에 도달하기까지는 '상당한 거리(pretty sizable distance)'가 있다"고 밝혔다. 커들로 위원장은 "앞서 진행된 중국과의 협상을 통해 두 나라간 방대한 대화는 있었지만, 기술 및 구조적 문제와 함께 협상안을 집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2월 미중 정상회담이 무산되면서 양국이 설정한 협상 마감 시한인 3월1일까지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때까지 합의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2000억 달러 상당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인상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이 경우 무역 전쟁에 대한 공포가 재부각되면서 실물 경제는 물론 금융 시장까지 다시 불안에 빠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미중 무역협상 결렬 우려에 미국 투자업계에서도 경고 발언이 잇따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단골’ 통화상대인 세계 최대 사모펀드 운용사 블랙스톤의 스티븐 슈워츠먼 최고경영자(CEO)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그의 참모진들에게 “미중 무역협상이 실패하면 미국 경제가 위축되고 시장이 붕괴될 것.”임을 강력 경고했다고 밝혔다.

슈워츠먼 외에도 헨리 폴슨 전 미국 재무장관 등 많은 비즈니스 리더들이 일제히 이른 시일 내에 협상을 타결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미국 재계의 이같은 경고는 미중 무역협상 결렬시 적지 않은 미국 기업들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다음주 중국 베이징에서 장관급 무역협상을 이어 나갈 예정이다.

지난해까지 미국 재무부에서 중국 담당 선임 조정관을 지내다가 코빙턴앤드벌링 로펌으로 자리를 옮긴 크리스토퍼 아담스는 “일반적으로 협상이 이쯤 진행됐으면 초안 교환이 이뤄진다”면서 “하지만 양국간 필수 요소가 아직 합의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 2월 미중 정상회담이 무산되면서 양국이 설정한 협상 마감 시한인 3월1일까지 합의가 이뤄질 가능성은 매우 낮아졌다.   출처= Finance and Markets

[미국]
■ 美 의회, OPEC 가격 담합 처벌법 추진

- 미 의회가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가격 담합 행위를 처벌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의 입법 추진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가 7일(현지시간) 보도.

- 미 하원은 OPEC 국가들에 대한 면책특권을 제거하고 유가 담합 행위를 미국 독점금지법으로 기소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의 입법을 추진 중.

- '석유생산자담합금지법(NOPEC·No Oil Producing and Exporting Cartels Act 2019)으로 불리는 이 법안은 지난 4일 하원에 상정돼 7일 법사위를 통과. 이에 따라 조만간 본회의 표결을 통과할 가능성도 커졌다고.

- 이 법안이 통과될 경우 지난 2016년 이후 국제유가를 견인하기 위해 OPEC이 추진해온 감산 담합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여.

- NOPEC 법안은 가격 담합에 참여한 석유 생산국의 미국 내 자산을 몰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담고 있어 미국에 정유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에도 타격을 줄 수 있어.

■ 美 경제 전문가 62명, 파월 의장 소통 부족해 "B마이너스"

-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 의장이 취임 후 보여준 성과에 대해 B- 학점을 받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

- WSJ은 지난 1~5일 경제 전문가 62명을 대상으로 전현직 연준 의장 4명의 성과를 평가해 달라는 설문조사를 진행.

- 이번 조사에서 재닛 옐런(2014~2018년)과 벤 버냉키(2006~2014년) 전 의장은 B+ 학점을, 파월 의장과 앨런 그린스펀(1987~2006년) 전 의장은 이보다 낮은 B- 학점에 그쳤다고.

- 전문가들은 파월 의장의 부족한 점으로 '의사 소통'을 꼽아. 옥스포드 이코노믹스의 그레고리 다코 이코노미스트는 파월 의장에게 C 학점을 줘 가장 인색. 그는 "파월 의장이 초반에는 적절한 소통 능력을 보여줬지만 뒤로 갈수록 집중력을 잃었다"며 "소통에 많은 관심을 가져야할 것"이라고 지적.

- 투자자들은 지난해 하반기 파월 의장의 발언으로 적지 않은 혼란을 겪어. 뱅크오브더웨스트의 스캇 앤더슨 이코노미스트는 "그의 일관성 없는 의사소통이 지난해 4분기 주식시장에서 나타난 투매의 중요한 원인이 됐다"고 평가.

[유럽]
■ 獨, 5G사업에 화웨이 참여시킨다

- 화웨이와의 거래를 금지시키려는 미국의 전방위 요구를 거부하고 독일 정부가 화웨이를 5G 이동통신망 사업에 참여시키기로 결정했다고 독일 경제지 한델스블라트(Handelsblatt)가 7일(현지시간) 보도.

- 독일의 외무·내무·경제·재무부 등 관련 부처 장관들은 논의 끝에 화웨이만 5G 사업에서 배제하는 것이 법적으로 설득력이 없다고 판단했다고.

- 독일에서는 화웨이 배제가 자국 통신 업체의 비용을 늘리고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조치라는 비판이 제기돼 와. 다만 독일은 미국과 영국 등이 화웨이와 관련해 중국 정부로의 기밀유출 의혹을 제기한 만큼 안전장치를 마련할 방침.

- 독일이 화웨이 배제를 거부한 데 이어 이탈리아 정부도 “이탈리아가 화웨이를 5G 사업에서 배제한다는 뉴스는 거짓”이라고 밝혀.

- 독일과 이탈리아의 이탈로 ‘반(反)화웨이’ 전선 구축에 차질을 빚게 된 미국은 당장 “중국 기술을 받아들이는 서방국가는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며 유럽 국가들을 상대로 강력한 압박.

■ 獨·英 합동 연구 "술 먹는 순서, 숙취와 관계없어"

- 독일 비텐/헤르데케大, 영국 케임브리지大 교수진 등으로 구성된 합동 연구팀이 7일(현지시간) 술 먹는 순서는 숙취와 관계없다는 과학적 연구 결과를 미국 임상 영양학 저널(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 발표했다고 가디언이 보도.

- 연구진은 통제된 연구실 조건 하에 19~40세로 구성된 90명의 지원자들을 3그룹으로 나눠, 첫 번째 그룹은 맥주를 먼저 마신 뒤 와인을 마시게 했고, 두 번째 그룹은 와인을 먼저 마신 뒤 맥주를 마셨고, 세 번째 그룹은 맥주, 와인 중 한 가지만 마시게 했다고.

- 일주일 뒤 지원자들은 반대로 술을 마시게 해. 전에 와인-맥주 순서대로 먹었던 사람들은 맥주-와인 순서로, 맥주-와인을 마셨던 사람은 와인-맥주 순서로 마셨으며, 맥주만 먹었던 사람들은 와인을, 와인만 마셨던 사람들은 맥주만 마시게 한 것.

- 연구진들은 갈증, 피로도,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복통, 식욕감퇴 등에 대해 점수를 매겨가며 숙취 정도를 관찰한 결과, 술 마시는 순서는 숙취 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 연구진은 "술 마시는 순서에 따라 취하는 것이 다르다”는 속담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며, 순서가 아니라 위험 신호를 나타내는 징후를 신경 써야 한다고 조언.
 
[중남미]
■ IMF, '경제 파탄' 베네수엘라 금융 지원 보류

- 국제통화기금(IMF)이 회원국들 사이에서 베네수엘라 야당 지도자 후안 과이도를 합법적인 대통령으로 인정하는 공감대가 형성되기 전까지는 베네수엘라에 대한 금융지원을 보류하겠다고 밝혔다고 AFP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

- 미국 등 서방국들을 중심으로 과이도 국회의장을 베네수엘라 임시 대통령으로 인정하는 국가들이 늘어나고 있지만 IMF는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

- 게리 라이스 IMF 대변인은 7일 정례 브리핑에서 "베네수엘라 상황을 면밀히 살펴보고 있다"며 "과이도를 베네수엘라 대통령으로 인정할지를 놓고 입장을 정리 중인 국가들이 있는 것 같다"고 설명.

- 라이스 대변인은 "회원국 사이에 일치된 견해가 있다고 느낄 때 지원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해.

- IMF는 지난 2011년 리비아에 대해서도 비슷한 대응을 한 바 있어. 당시 무아마르 카디피 리비아 대통령이 축출된 뒤 구성된 새로운 정부가 신뢰를 얻을지 지켜봐야 한다며 금융 지원을 늦췄던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