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올해는 5G부터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등 다양한 영역에서 ICT 기술 발전이 급격하게 벌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허공의 기술에서 현실의 비전으로 이어지는 지금, 우리는 어떤 기술에 주목해야 할까? 최근 애플, 아마존과 함께 글로벌 ICT 업계를 호령하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길을 찾아보자.

MS의 최고법률책임자(CLO) 브래드 스미스(Brad Smith) 사장은 최근 자신의 링크트인에 ‘2019년 10가지 테크 이슈(The Top tech issues for 2019)’를 게재했다. 다양한 전망이 눈길을 끄는 가운데 그는 지난해 IT기술 분야에 있어 괄목할 만한 성과도 있었지만, 과거를 통해 오늘날 일어나고 있는 이슈에 대해 IT기술 기업으로서의 역할에 대해서 깊이있는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프라이버시, 미국도 예외는 없다
2018년 유럽 연합(EU)의 개인정보보호 규정(GDPR)이 시행되면서 프라이버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구글이 GDPR의 적용을 받아 타격을 입는 일이 벌어지는 가운데, 업계의 화두로 급부상하고 있다.

GDPR은 기존 개인정보보호 지침과는 다르다. 유렵연합 전체 회원국을 대상으로 하며 이용자의 동의가 있어야만 기업이 개인정보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고 저장하는 것을 허락하는 것이 핵심이다. 만약 이용자가 원할경우 기업은 지체없이 개인정보 데이터를 삭제해야 한다.

국내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네이버프라이버시센터를 통해 영문 Privacy Policy(개인정보처리방침) 작성 가이드라인을  업데이트하기도 했다. 이번 업데이트는 2015년 공개한 기존 가이드라인에 그동안의 법률 개정사항 및 EU에서 시행에 들어간 GDPR과 같은 최신 내용을 반영했다는 설명이다. 국내 스타트업에 큰 도움이다.

프라이버시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며 기업들이 신경전을 벌이는 일도 포착된다.

팀 쿡 애플 CEO는 지난해 2월 중국은 물론, 3월에는 방송에 출연해 "페이스북은 고객을 돈이나 상품으로만 취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마크 저커버그 나섰다. 그는 지난해 4월 복스와의 인터뷰에서 "많은 사람을 연결하는 것이 페이스북의 가치며, 이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돈을 지불할 여력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나름의 대책이 필요하다"면서 "많은 미디어처럼 페이스북도 광고에 기반한 사업모델로 우리의 가치를 구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나아가 "팀 쿡의 말은 사실과 다르며, 말만 그럴듯 하다"고 비판했다.

각 지역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커지면서, IT 기업들은 프라이버시 관련 혁신에 많은 투자를 할 전망이다. 이 대목에서 MS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제어  기능부터 데이터가 암호화된 상태에서 알고리즘을 학습할 수 있는 차세대 AI 기술까지 다양한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는 설명이다.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가짜뉴스 논란
지난해 미국과 유럽에선  정치적으로 악용되는 가짜 뉴스가 주요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장악했다. 미국 상원정보위원회(Senate Intelligence Committee)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국가 주도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게시물을 가족, 친구들과 공유하거나 공감 또는 댓글을 남긴 이용자가 3000만명이 넘는다고 한다.

국내에서도 가짜뉴스는 큰 논란이다. 이낙연 국무총리가 지난해 10월 정부서울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가짜뉴스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유튜브 등을 통해 가짜뉴스가 범람하는 것을 좌시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이 총리는 "유튜브와 SNS를 비롯해 온라인에서 의도적이고 악의적인 가짜뉴스가 급속히 번지고 있다"면서 "사생활과 민감한 정책현안을 비롯해 남북관계를 포함한 국가안보나 국가원수와 관련된 가짜뉴스까지 나도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를 중심으로 정부 여당 중심의 규제안이 나오기도 했으나, 표현의 자유라는 헌법적 가치와 상충되며 끝내 좌절된 바 있다. 지금도 이와 관련된 논란은 현재 진행형이다.

구글과 페이스북 등 글로벌 ICT 업계도 고민을 거듭하고 있다. 페이스북의 노력이 눈길을 끈다. NBC는 지난해 말 가짜뉴스 논란에서부터 최근 데이터 유출까지 곤욕을 치른 페이스북이 사용자의 몰입감을 높이기 위해 지역 특성을 반영한 뉴스와 정보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보도했다. 가짜뉴스 방지다. 페이스북은 투데이 인(Today In)이라는 서비스를 미국 내 400개 도시로 확대하고, 호주 일부 도시에서도 도입하기로 했다.

이러한 흐름은 세계적인 추세다. EU는 앞으로 있을 유럽 의회 선거에서 허위 정보를 차단하기 위한 새로운 규범과 대응방안을 마련한 바 있다. 주요 SNS 플랫폼 역시 저마다 새로운  보호 대책을 도입했으며, 기자들이 자발적으로 허위 정보 차단에 나서는 뉴스가드(NewsGuard)와 같은 이니셔티브도 출현하기도 했다. 다양한 노력이 이어지는 가운데 미국버지니아주 상원의원 마크워너는 SNS 플랫폼이 게시물의 출처,  가짜 계정 등을 파악하고 봇(bot)으로 확산되는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제안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 미중 무역전쟁에 시선이 집중된다. 출처=갈무리

#보호 무역주의의 공포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ICT 업계의 공포도 중요한 변곡점이다.

중국 국무원은 2015년 양회를 통해 스마트 제조 2025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총 3단계로 이어진 중국 제조업 발전 계획이자 국가 혁신 계획이다. 1단계는 2015년부터 2025년까지 양적인 제조강국에서 벗어나 질적인 스마트 제조 플랫폼을 가진 국가로 거듭나는 것이다. 2단계는 2026년부터 2035년까지 글로벌 스마트 제조 시장에서 최소한 중간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며 3단계는 2036년부터 2045년까지 글로벌 무대를 석권하는 것이다. 스마트 팩토리부터 반도체까지 다양한 ICT 영역에서 중국의 기술굴기를 현실로 끌어내, 중산층의 부흥인 샤오캉 시대를 만들겠다는 각오다. 이는 일대일로 프로젝트와 맞물리며 상당한 파장을 일으켰다.

중국의 기술굴기가 본격화되자 미국이 움직였다. 당장 미국 정부는 대 중국 적자를 운운하며 보호 무역주의에 시동을 걸었다. 이어 미중 무역전쟁이 발발하며 글로벌 경제는 불확실성으로 빠져들었다.

전쟁이 격해지며 화웨이는 최악의 위기에 직면했다. 이와 관련해 다양한 논란이 나오고 있다. 올해는 미국이 잠재적으로 AI를 비롯한 최신 기술에 내릴 수 있는 수출규제에 관한 여러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EU의 경우도, 현지 IT 스타트업의 해외 인수를 제한할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디지털 외교
사이버 공격도 올해 ICT 업계의 중요한 관전 포인트다. 올해는 IT 분야의 이해 관계자들이 모여 사이버 공격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할 디지털 외교가 이뤄져야 한다는 말이 나온다.  MS는 지난해 4월 사이버보안 기술 협정 서명(Tech Accord)에 앞장섰으며, 11월 파리에서 열린 ‘사이버  공간의 신뢰와 안보를 위한 파리의 요구(Paris Call)’는 무려  50개 정부와 400 개 이상의 기업이 서명하는 큰 성과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거세지는 사이버 공격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두 나라의 신경전에 사이버 공격이 거론되는 점도 눈여겨 볼 지점이다.

<WSJ>는 지난해 말 미국 연방검찰이 조만간 중국 정부와 관련된 것으로 의심받고 있는 해커들을 처벌할 가능성을 보도했다. 사실 여부는 불투명하지만 미국 연방검찰에 따르면 일부 중국 해커들은 미국의 기술서비스 업체에 침투해 핵심 기술력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WSJ>는 “미국 기업은 물론 미국 정부 기관도 피해를 봤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도했다.

지난해 불거졌던 중국 스파이칩 의혹과도 연결되고 있다. <블룸버그 비즈니스>는 지난해 10월 글로벌 서버용 마더보드 공급처 중 하나인 엘리멘털의 제품에서 소형 마이크로 칩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2015년부터 진행한 칩 감시 활동을 통해 확인됐다는 설명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칩은 육안으로 살펴볼 수 없을 정도로 작았으며, 중국 정부가 심어둔 것으로 추정됐다. 다만 이 문제는 아직 명확한 사실이 밝혀지지 않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중국의 해킹 의혹도 정조준하기도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대선 당시 중국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이메일을 해킹했다”면서 “다수의 기밀정보가 중국의 손에 들어갔다”고 주장했다. 클린턴 전 장관은 대선 당시 ‘개인 이메일 서버를 사용해 기밀문서를 주고 받았다’는 논란에 휘말린 적 있다. 화충인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11월 29일 브리핑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반박하며 “인터넷 안전은 전 세계의 문제”라고 반박했으나, 중국 정부의 해킹 시도가 동시다발적으로 시도되고 있다는 주장은 지금도 꾸준히 나오고 있다.

중국 인민해방군 산하에 사이버 전쟁을 수행할 부대원이 10만명에 이른다는 주장도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의 보고서에 따르면 사이버 산업 스파이 역할을 수행하는 인민해방군 산하 사이버 부대원의 최고 지휘자는 류샤오베이 소장이며, 부대는 광저우에 있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