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홍석윤 기자]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한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대통령의 거취를 둘러싼 정국 혼란이 국제사회의 '좌우 대립' 구도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미국과 EU, 캐나다 등 서방국들과, 브라질을 비롯해 베네수엘라를 둘러싼 미주 대륙의 우파 정부들이 야권 지도자인 후안 과이도 국회의장을 임시 대통령으로 인정하면서 '반(反) 마두로 포위 전선'을 구축한 반면, 쿠바와 멕시코, 볼리비아 등 중남미 좌파 국가들은 '마두로 지키기'에 총력을 기울이는 양상이라고 CNN등이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베네수엘라에서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벌어진 23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나는 과이도 국회의장을 베네수엘라의 임시 대통령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한다. 베네수엘라 국회가 헌법을 발동해 마두로 대통령이 불법이라고 선언했고 따라서 대통령직은 공석"이라고 공식 선언했다.

올해 초 취임한 극우 성향의 자이르 보우소나루 브라질 대통령도 스위스 다보스에서 베네수엘라 정권 교체를 촉구하며 과이도 의장을 임시대통령으로 인정했다. 이어 아르헨티나, 칠레, 콜롬비아, 페루, 파라과이,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등 중남미 우파 정부들도 잇따라 과이도 의장을 지지하며 마두로 정권을 압박했다.

유럽연합(EU)도 페데리카 모게리니 외교안보 고위대표가 발표한 성명을 통해 사실상 과이도 의장을 임시대통령으로 인정하면서 조속한 재선거를 촉구, '반 마두로 전선'에 동참했다.

위세가 크게 줄긴 했지만 중남미 좌파 블록의 반발도 만만치 않다. 베네수엘라의 오랜 좌파 동맹인 에보 모랄레스 볼리비아 대통령과 미겔 디아스 카넬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은 "제국주의자들의 시도에 맞선 마두로 대통령에게 지지를 보낸다”고 밝혔다.

작년 말 좌파 정권으로 바뀐 멕시코의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대통령은 외교적으로 불간섭 원칙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우리는 베네수엘라 헌법에 따라 선출된 대통령을 인정한다"며 마두로 정권에 대한 지지를 표명했다.

여기에 베네수엘라의 전통적인 우방인 러시아가 마두로 정권을 지지하면서 이번 사태의 배후로 미국을 지목하고 나서 '미-러 파워게임'으로 불똥이 튈 가능성도 있다. 콘스탄틴 코사체프 러시아 상원 국제문제위원회 위원장은 "베네수엘라에 대한 트럼프 미 대통령의 발언과 미국 정부의 정책은 주권 국가에 대한 직접적이며 무분별한 간섭"이라고 비난했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나는 과이도 국회의장을 베네수엘라의 임시 대통령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한다"고 말했다. 대중 앞에서 연설하는 후안 과이도.    출처= 폴리티코 캡처

[글로벌]
■ "비트코인, 0원 될 수도"

- 스위스 다보스에서 열리고 있는 세계경제포럼(WEF)의 블록체인 관련 토론회에서 비트코인이 0원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고 CNBC가 23일(현지시간) 보도.   

- BCG 디지털벤처스 설립자 제프 슈마허는 "비트코인은 훌륭한 기술이지만 통화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것은 어떤 것에도 근거하고 있지 않다. 가격이 '0'으로 떨어질 수 있다"고 주장.

- 가상화폐 정보 제공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가상화폐 시장은 지난해 격동의 시간을 보내며 시가총액이 4800억 달러(541조 3920억원) 넘게 사라져.

- 사모펀드 실버레이크파트너스 공동 설립자인 글렌 허친스는 비트코인의 향후 역할이 가치 저장에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고 예상.

- 허친스는 "어떤 가치가 있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근본적인 프로토콜이 무엇이냐가 중요하다"며 차세대 블록체인 기술은 계속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

■ 팔라듐, 금값과 격차 더 벌려

- 현물가격 기준으로 지난해 12월 5일 금을 추월한 팔라듐은 이후 엎치락뒤치락하다 올들어 가격 차이를 벌리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 24일 현재, 팔라듐의 가격은 온스당 1348.9달러, 금값은 온스당 1279.8달러

- 팔라듐이 금보다 가치 있는 금속이 된 것은 2002년 이후 처음. 지난해 8월 이후 50% 이상 올랐고 올 들어서만 6.8% 상승했다고.

- 백금, 구리, 니켈 등을 캐 제련하는 과정에서 나오는 부산물인 팔라듐은 휘발유차의 배기가스 정화장치인 '촉매변환기'의 산화 촉매로 주로 사용되는 금속. 러시아(41%)와 남아프리카공화국(39%)이 전세계 생산을 양분해 공급량도 쉽게 늘지 않아.

- 투자자들은 팔라듐의 공급은 부족하고 수요는 계속돼 장기 전망을 더욱 좋게 보고 있어. 다. 유럽이 배기가스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고, 중국 역시 스모그 문제에 관심이 크며, 수소차에도 쓰여 수소차가 활성화될 경우 추가 수요가 생길 수 있다고.

- 그러나 BMO 캐피탈마켓츠의 타이 웡 금속거래팀장은 "팔라듐은 시장 규모가 작아 가격 변동성이 커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

▲ 출처= Bloomberg 캡처

[미국]
■ 미국인 60% "비상금 1000달러도 없다"

- 미국인의 60%가 비상금 1000달러(113만원)조차 없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고 CNBC가 23일(현지시간) 보도.

- 개인금융사이트 뱅크레이트(Bankrate)는 미국인의 40%만이 예상하지 못했던 일에 필요한 비상금 1000달러를 갖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발표.

- 월급으로 생활하는 중산층 이하 미국인들의 생활패턴이 저축을 생각할 수 없는 매우 빡빡한 삶을 살고 있어 대부분 2주마다 받는 급여를 한 차례만 걸러도 각종 할부금 납부가 어렵다고.

- 뱅크레이트는 이번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으로 80만명에 이르는 연방공무원들이 이미 한 차례 이상 급여를 받지 못해 임대료와 대출금, 할부금을 납부하지 못하는 힘든 상황에 처해있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고 지적.

- 앞서 지난 2016년 5월 AP통신과 시카고대학이 공동 조사한 결과에서도 연소득 5만달러 가정의 75%, 연소득 5만~10만달러 가정의 67%가 비상금 1000달러 없이 살고 있다는 결과가 나온 바 있어.

■ 美 주택거래 사상 최고가, 2681억원 짜리 펜트하우스

- 미국 역사상 가장 비싼 집이 거래됐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현지시간) 보도. 가격은 2억 3800만달러(2681억원)에 달한다고.

- 미국 헤지펀드 시타델(Citadel)의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 켄 그리핀은 최근 뉴욕시 맨해튼 센트럴파크 남쪽에 신축 중인 ‘220 센트럴파크 사우스’의 펜트하우스를 2억 3800만달러에 매입.

- 이는 미국에서 거래된 주택 중 가장 비싼 가격. 이전 최고 기록은 2014년 헤지펀드 자나파트너스의 베리 로젠슈타인 창업자가 매입한 뉴욕 인근 롱아일랜드 햄튼 저택 1억 4700만달러.

- 그리핀 CEO가 사들인 펜트하우스는 79층 최고급 콘도 건물의 꼭대기 층. 면적은 2230m2(675평)에 달한다고.

- 그리핀은 하버드대에 다니던 19세부터 투자를 해 번 돈으로 22세인 1990년 시타델을 창업. 시카고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 회사는 자산 280억달러를 운용 중이며 그의 재산은 포브스 추산 97억 달러라고.

▲ 미국 역사상 가장 비싼 가격으로 거래된 '220 센트럴파크 사우스’의 펜트하우스.   출처= StreetEasy

[중국]
■ 마윈 "기술 규제 까다로운 선진국 대신 신뢰하는 아프리카 진출하겠다"

- 알리바바 그룹 창업자이자 회장인 마윈이 스위스 다보스 세계경제포럼(WEF)에서 “미국, 유럽 등 선진국들은 기술 영역에서 과도하게 걱정하기 때문에 알리바바는 선진국 대신 기술을 신뢰하는 아프리카 시장을 우선 선택하겠다”고 밝혀.

- 마 회장은 “유럽은 기술에 있어서 항상 프라이버시, 규제감독, 안전 등을 중요하게 본다”면서 "만약 진정으로 기술을 이해하지 못한다면 지나친 규제는 모든 것을 어렵게 만들 것"이라고 주장.

- 그는 과도한 규제가 기술 발전을 저해할 수 있다며, 마차에서 증기기관차로 넘어가던 1800년대 중반 영국의 마차협회는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붉은 깃발법'을 내세웠고, 결국 자동차산업 경쟁에서 미국에 우위를 내어주게 됐다고 지적.

- 마윈은 또 아프리카 르완다에서의 커피 판매를 사례로 들며 "사흘 동안 아무런 홍보도 하지 않았음에도 커피 2000봉지를 팔았고, 올해는 10만 봉지를 팔 수 있을 것"이라며 "기술은 다국적 무역 매커니즘에 에너지를 불어넣을 수 있다“고 말해.

- 마 회장은 “현재 전 세계적으로 기술에 대한 우려와 의심이 확산되고 있지만, 전 세계 200여개 국가들이 모두 그런 것은 아니다”라며 중국에 대한 서방 세계의 견제를 우회적으로 비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