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명 하안2지구 공공택지 지구 지정도. 출처=국토교통부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시세보다 2억~3억원 저렴한 신혼희망타운은 문재인 정부의 역점사업이다. 정부는 신혼부부를 위한 주거지원 방안으로 신혼희망타운을 10만가구로 늘리고 5년간 매년 2만 가구씩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정작 뚜껑을 연 신혼희망타운은 수요자로부터 외면을 받는가하면 일부는 사업이 중단되기까지 했다.

22일 LH 및 광명시 등에 따르면 신혼희망타운과 청년주택 등으로 조성되는 공공주택지구가 지구지정에 반대하는 지자체와 주민대책위의 반발에 발목이 잡혀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다.

문제가 발생한 곳은 광명하안2 지구이다. LH는 하안동 일원에 59만3304㎡ 규모에 오는 2023년까지 신혼희망타운 5400가구를 공급할 예정이다.

이 곳은 지난해 9월 21일 지구지정 주민 등 의견청취 공고가 됐고 당초 상반기 지구지정을 거쳐 연내 토지보상을 마친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광명시가 지구지정을 하기 위해 필수로 거쳐야 하는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회 구성에 불참하며 현재 사업추진이 중단됐다.

광명시 도시정책과 관계자는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회 구성에 불참했다는 이야기는 처음 듣는 부분”이라면서 “다만 시는 이미 공식적으로 하안2지구의 공공택지지구 지정을 반대한 상황으로 이 부분과 관련해 추가적으로 진척된 것은 없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7월 10일 지구지정된 남양주 진접2공공주택지구 역시 신혼희망타운 추진이 난항을 겪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이 곳은 진접읍 내각리 일원의 129만2388㎡에서 개발제한구역 58만7743㎡를 해제하고 LH가 오는 2022년까지 신혼희망타운 등 총 1만2612가구의 공동주택을 지을 예정이다.

당초 지난해 12월 11일부터 토지와 지장물에 대한 조사를 시작할 예정이었지만 주민대책위의 반대로 연기된 상태이다. LH는 주민들을 설득해 설 명절 이후부터 기본조사에 착수하고 오는 12월부터 협의보상을 시작한다는 방침이다.

LH관계자는 “지구지정 이후 토지보상 등 사업을 진행하기까지는 여러 협의과정이 필요하다”라면서 “신규택지 사업은 시간이 다소 걸릴 수밖에 없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지구지정부터 토지보상 등의 지자체 및 주민들과의 협의를 이끌어내며 주택공급을 했지만 정작 수요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아 미분양앓이를 하는 곳도 발생했다.

▲ 평택 고덕 신혼희망타운 청약결과. 출처=LH청약센터

지난 15일~16일에 진행된 평택 고덕 신혼희망타운 입주자 모집에서 총 596가구 모집에 62가구가 미달이 된 것이다. 신청명수는 총 965명이었지만 미분양이 발생한 셈이다. 특히 전용면적 46㎡A형은 총 96가구 모집에 54명만 신청해 42가구가 남았다 46㎡B형 역시 33가구 모집에 13가구밖에 모이지 않으면서 총 20가구가 미달됐다. 이는 앞서 공급한 위례 신혼희망타운이 평균 5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한 것과는 상당한 큰 차이다. 가격이 시세보다 저렴해도 결국 서울접근성이 떨어지게 될 경우 미분양 증가에 한 몫을 할 뿐이다.

문제는 신혼희망타운 지정된 곳 중 서울로 출퇴근하는 수요를 만족시킬만한 곳이 많지 않다는 부분이다.

정부가 지난해 추가한 신혼희망타운지역은 총 23곳이지만 이 중 수도권으로 분류된 곳은 9곳에 불과하다. 이 중에서도 서울과 접근성이 좋은 곳은 성남서현, 인천 고촌 정도라는 분석이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평택 고덕 신혼희망타운의 미분양 사태가 앞으로의 바로미터 역할을 할 것”이라면서 “평택은 올해 1만5000호가구 입주인데다 인근 화성과 오산까지 합치면 3만5000여가구가 입주를 하는 만큼 공급과잉에 대한 부담이 있는 상태에서 생애주기에 맞지 않는 면적 공급과 서울과 50km 차이가 나는 먼 거리 등이 흥행을 저해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도 공급이 너무 많거나 당장 교통이 불편한 지역은 수요자들의 외면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면서 “특히 올 상반기에 11만호가 3기 신도시 추가 입지로 발표가 될 텐데 공급이 몰리지 않도록 선정을 하고 이미 입지가 결정된 곳 역시 보완책 등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