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황진중 기자] 타미플루(성분명 오셀타미비르)가 성인보다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이상증상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됐다.

서울대병원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는 3일 청소년에게 이상증상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는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처방받은 환자 7045명에 대한 약물유해반응 발생자료를 분석해본 결과 ‘성인과 달리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환각‧환청 등 신경학적 유해반응이 높게 나왔다’고 밝혔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치료제인 타미플루는 2009년 ‘신종 플루’라고 불린 인플루엔자 A형 H1N1의 대유행 당시 수요가 급증해 이후 널리 사용하고 있다. 타이플루와 관련, 이미 10년 전부터 이 약을 복용함에 따라 환각‧환청 등 신경학적 이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서울대학교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의 분석 결과 7054명 중 총 29명의 부작용 발생 사례가 확인됐다. 타미플루 복용에 따른 약물 부작용 발생률은 0.41%다. 이 중 오심‧구토‧설사 등 위장관계 증상이 0.20%로 가장 높았고, 간독성 0.09%, 가려움과 두드러기 등의 피부증상이 0.07%로 뒤를 이었다. 그러나 환각‧환청 등의 부작용이 발생한 사례는 한 건도 확인되지 않았다. 1명의 환자(0.01%)에서 신경학적 유해반응인 경련이 발생했다.

관리센터가 대상 범위를 넓혀 외부 의료기관의 타미플루 사용 유해사례까지 추가로 분석한 결과 2건의 환각 발생 의심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10세 미만의 환자들이었다.

약물유해반응관리센터장인 조상헌 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지금까지 보고된 타미플루에 의한 환각‧환청 사례는 대부분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자료에서도 어린연령이 중대한 유해반응 발생의 위험일 가능성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 연령대에서 타미플루 사용이 많기에 부작용 사례도 많은 것으로 의심할 수 있으며, 실제 서울대병원의 처방자료에서도 타미플루를 사용한 전체 환자 중 20세 미만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46%를 차지했다.

그러나 조상헌 교수에 따르면 전체 타미플루 부작용의 90%가 이들에게서 발생했고, 발생한 부작용의 19%는 입원 혹은 입원기간의 연장을 초래하는 심각한 유해반응이었다. 나머지 10%는 60세 이상의 노인 환자들에게서 발생했지만, 이들 중 심각한 부작용 사례는 없었다.

이는 서울대병원만의 자료만을 분석한 결과로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일반적인 다른 약물들의 부작용 양상과 비교했을 땐 유의미한 차이라고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조상헌 교수는 “아직까지 타미플루가 환각을 일으키는 기전이나 연령에 의한 영향은 정립된 것이 없으나, 최근까지 밝혀진 역학적 근거를 고려할 때 타미플루는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환각‧환청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포함한 다양한 유해반응 발생 빈도가 높으므로 진료 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반적인 성인은 투약을 지속하더라도 1~2일 내 사라지는 위장관계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신경학적 부작용 발생을 염려해 타미플루를 활용하지 않을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조 교수는 “타미플루 위해성에 대한 염려로 자연치유 경과에만 맞기면, 인플루엔자 감염에 따른 폐렴으로 중환자실 치료가 필요하거나,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면서 “특히 소아나 만성 심폐질환이 있는 노인, 면역저하환자 등에서는 이런 위험성에 대해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또 “모든 약은 예기치 못한 유해반응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임상의는 치료 효과와 득실을 비교해 약을 사용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발생하기 힘든 사건들에 대한 두려움으로 정상적인 진료와 처방에 제한이 생긴다면, 국민건강에 있어 더 큰 위해를 끼칠 수 있다”면서 “인플루엔자가 의심되면 충분한 의학적 근거에 따라 치료하는 한편, 혹시 모를 약물 부작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의사, 약사, 환자가 함께 공유해 발생가능한 부작용에 현명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타미플루의 복제약은 국내 제약사 51곳에서 출시한 159개 품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