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가 유럽연합(EU)로부터 짝퉁 유통의 경로로 지적받아 논란이다. 미중 무역전쟁이 불거지며 중국의 알리바바가 짝퉁 논란에 휘말린 바 있으나, 국내 포털 사업자인 네이버가 EU의 타깃이 된 점은 의외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네이버는 최고 수준의 단속에 나서고 있다는 설명이지만 일각에서는 “예견된 일”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 한성숙 네이버 대표가 발언하고 있다. 출처=네이버

EU 통상총국은 14일 위조 및 불법복제 감시 리스트를 발표하며 감시 대상인 6개 이커머스 플랫폼 중 네이버의 이름을 올렸다. 네이버가 소위 짝퉁 유통의 경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위조품 거래를 줄이기 위한 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한유럽상공회의소(ECCK)에 따르면 지난해 12개 유럽 기업이 네이버에 통보한 위조품 통지 및 삭제요청은 5만여건에 달한다.

예견된 사고라는 말이 나온다. 네이버의 짝퉁 논란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지난 10월6일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규환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국지식재산보호원의 온라인 유통 채널별 위조상품 단속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커머스 오픈마켓 중 네이버 관련 플랫폼이 사실상 짝퉁 유통의 원흉이라고 지적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오픈마켓과 포털, SNS 등에서 짝퉁을 판매하다 적발된 건수는 2만9746건에 이르며 오픈마켓 중 네이버 스토어팜이 1035건으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기 때문이다. 포털 중에서도 네이버 블로그가 1406건, SNS에서는 네이버 밴드가 1071건이나 지목됐다.

국내 1위 온라인 플랫폼 네이버의 ‘숙명’이라는 말이 나오지만, 그와 비례해 짝퉁을 검수하고 걸러내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말이 나온다. 한명숙 네이버 대표는 10월29일 국정감사에 출석해 “심각한 문제라고 본다”면서 단속 의지를 보였으나, 성과는 미흡하다는 평가다. 짝퉁을 판매하다 적발되면 바로 퇴출되는 ‘원 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적용하고 있으나 실효성에도 의문이 제기된다.

일각에서는 네이버가 내부 시스템 운영과 유지에 있어 별다른 능력을 보여주지 못하는 것 아닌가라는 지적도 나온다. 드루킹 사태 당시에도 네이버는 저급 기술의 매크로에 힘없이 뚫려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장면을 연출했다. 네이버 내부 역량이 자체적으로 플랫폼을 운영하고 발전시키는 역량적인 측면서 많이 부족하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EU의 지적이 네이버 입장에서 ‘엄청난 타격’은 아니더라도, 최근 커머스 역량을 키우기 시작한 네이버의 활동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도 제기된다. 네이버는 모바일 첫화면 개편을 통해 그린닷과 스와이핑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는 한편 이커머스 플랫폼 전략을 본격적으로 가동하고 있다. 네이버페이라는 강력한 결제 인프라도 확보한 상태다. 이를 중심으로 기술기반 플랫폼을 중심으로 소상공인을 모아 스몰 비즈니스를 공익적 관점으로까지 이동시키고 있으나, 핵심인 이커머스 플랫폼의 공신력에 의문이 제기되는 장면은 분명 리스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