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공원 지도. 출처=국토교통부.

[이코노믹리뷰=정경진 기자]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 있는 한미연합사령부가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기로 한 계획이 재검토되면서 용산 공원 조성 계획에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14일 국방부 관계자에 따르면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 있는 한미연합사령부가 용산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기로 한 계획이 재검토됐다.

그간 용산 미군기지 이전 사업과 관련해 한미연합사령부 본부를 용산기지에 둘지 합참청사에 입주시킬지를 놓고 한미간 합의를 해왔다. 오랜기간 합의 후 올초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은 한미연합사령부 본부의 서울 잔류와 함께 국방부 영내로 이전에 합의를 했다.

국방부는 합참 청사 일부 층에 연합사 부지를 나눠서 배치하고 7층짜리 근무지원단 건물을 활용해 한미연합사를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기로 했다.

그러나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이 지난달 취임하면서 이전 계획이 원점에서 재검토가 되면서 용산 공원 조성 역시 불확실성이 더해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300여명 정도의 연합사 인원이 세 곳으로 분산돼 근무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은데다 국방부 청사 등에 연합사 병력이 들어오면 서로 불편할 수 있다는 판단으로 이전 계획이 원점에서 다시 검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국방부는 여러 쟁점을 고려하며 미군 측과 계속 의견을 조율 중이지만 당분간 한미연합사가 용산기지에 잔류하게 되면서 용산 공원화 계획 역시 차질이 불가피해진 것이다.

당초 용산공원은 2014년도 변경된 종합기본계획에 따라 기지를 폐쇄하고 토양오염 등 환경조사를 마친 이후 실시설계를 거쳐 2019년에 착공이 될 예정이었다. 다만 이 경우 미군이 2015년에 이전을 한다는 염두하에 이뤄졌기 때문에 미군기지 이전이 늦어지면서 국토부측에서 착공시기를 특정하지 않은 상태로 용산 공원을 개방하며 공원 조성 준비를 진행했다.

특히 한미연합사 부지가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기로 하면서 용산 공원 조성 사업은 탄력을 받았다. 한미연합사 본부가 용산기지 밖인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게 될 경우 용산공원 허리가 안정적으로 조성돼 공원 조성 사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미 연합사는 용산공원 부지 한 가운데 자리 잡은 데다 규모만 24만㎡로 주한 미군 주둔지역 243만㎡의 10%에 이른다. 실제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공약으로 용산기지를 미국 뉴욕의 센트럴 파크와 같은 생태공원으로 조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우면서 용산기지 내 연합사 잔류를 반대해왔다. 그만큼 한미연합사 이전은 용산공원 조성 추진에 상당한 영향력을 미치는 사안이다.

다만 국토부측에서는 용산공원 조성 추진에 있어서 한미연합사의 국방부 이전 계획이 재검토 된다고 하더라도 큰 틀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선욱 국토교통부 사무관은 “용산공원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단계적으로 조성을 할 계획이란 점을 염두에 두면 연합사 이전이 늦어지면 그 만큼 연합사 부지 개발이 용산공원 개발 첫 단계에서 이뤄지는 대신 뒷 단계에서 개발이 될 것이기 때문에 큰 틀에서는 문제가 없다”라면서 “다만 연합사가 국방부 영내로 이전을 일찍하게 될 경우 세부조사고 용이하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호의적인 상황인 것은 맞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