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전현수 기자] 국내 모바일게임의 중국 수출행이 내년에도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최근 약 1~2년간 중국 모바일 게임은 국내 앱마켓에서 훨훨 날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모바일 게임은 중국의 판호 허가를 받지 못해 수출길이 꽉 막힌 상황이다. 판호란 유료 서비스를 허가해주는 영업허가권이다. 중국에선 유료 콘텐츠를 판매하려면 중국 당국의 판호를 발급 받야야 한다. 자국 콘텐츠에는 내자 판호, 해외 콘텐츠에는 외자 판호를 발급한다. 

▲ 중국 게임 시장 규제의 바람이 지속되고 있다. 출처=이미지투데이

7일 한국게임학회장을 맡고 있는 위정현 중앙대 교수의 ‘한국게임학회 리포트’에 따르면 국내 게임의 중국 게임 시장 수출은 쉽지 않을 것이며 성공하더라도 극히 제한된 범위 내에서 발급 될 것이라고 위정현 교수는 전망했다. 

위정현 교수는 올해 중국 게임산업 관활이 공산당 조직내 선전부로 이관된 것에 대해 “(중국 당국이) 게임에 부정적인 영향에 주목하는 것”이라면서 “따라서 국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내년 봄에 한국 게임에 대한 판호가 나올 것이라는 예측은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 당국은 지난 3월부터 자국 게임의 판호 조차도 내주지 않고 있어 후속 게임의 출시가 지연되고 있다. 이에 텐센트의 실적이 휘청이는 모습을 연출하기도 했다. 만약 게임 판호 발급이 재개 되더라도 내자판호가 우선이 될 것이라는 예측은 국내 업계에서도 대체로 공감하는 분위기다.

위 교수는 “흥미로운 사실은 중국 정부의 게임 규제에 대한 반응이 중국 게임사별로 다르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에 따르면 중국 게임 업계에서 게임 규제의 최대 피해자는 텐센트라는 인식이 강하다는 것이다. 중국은 텐센트 넷이즈 등의 대기업 쏠림 현상이 심하다. 나머지 게임사들은 이번 일을 두 공룡 회사를 흔들 수 있는 기회로 여기는 분위기도 있다는 후문이다. 

위정현 교수는 국내 업체들이 중국 시장에서의 게임 서비스를 위해 선정성 폭력성, 도박성 요소를 주의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위 교수는 “중국 게임 업계는 선정성이 없는 건강한 게임을 통해 중국 정부에 어필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는 향후 판호 발급을 할 때 선정성이나 폭력성, 도박성을 기준으로 할 가능성이 있고 기존 서비스 중인 게임의 경우에도 이런 요소들에 대한 제거를 요구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대표적 예로 텐센트는 지난 9월 매출액을 잘 내고 있는 자사의 포커게임 천천덕주의 서비스를 돌연 중단했다. 

그는 일부 게임사가 좋은 게임의 카테고리로 인디게임이나 교육용게임을 적극 검토하고 있기 때문에 이점을 국내 게임사들이 공략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게임 기반 교육 콘텐츠가 중국 시장에서 먹힐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위 교수는 “게임 내용에 중국의 문화나 전통에 대한 요소가 들어가면 중국 정부는 호의적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중국의 문화 유산이나 쿵푸 등과 같은 전통 문화적 요소나 청소년을 교육하는 요소가 있는 게임의 경우 중국 정부가 대단히 환영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콘솔 게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고 위 교수는 진단했다. 그는 “일본에서 대히트한 모바일 게임 황야행동을 2019년 PS4로 출시한다고 발표한 것도 새로운 대안시장으로 콘솔을 보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며 넷이즈 이외에도 많은 게임사가 일본의 IP를 사들이고 있고 콘솔게임기를 대상으로 한 게임을 개발 중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