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박자연 기자] 뉴욕 주식시장의 3대 지수는 3일(현지시각)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완화에 일제히 상승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08%(275.63포인트) 오른 2만5814.09에 장을 마감했다.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1.01%(27.78포인트) 상승한 2787.9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1.39%(101.58포인트) 오른 7432.11에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필수소비재를 제외하고 10개 업종이 올랐다. 재량소비재 2.21%, 에너지 2.28% 금융 0.47%, 헬스 0.44%, 산업 1.17%, 소재 1.75%, 부동산 0.36%, 기술 2.11%, 텔레콤 0.08%, 유틸리티 0.88%가 올랐다. 필수소비재 0.09% 하락했다.

종목별로는 IT 대형주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애플이 3.5% 상승했고, 아마존이 5% 가까이 치솟았다. 넷플릭스는 0.3% 가량 완만하게 올랐다. 역정책에 민감한 캐터필러 주가는 2.4% 상승했고, 보잉 주가는 3.8% 올랐다.

시장 참가자들은 미중 정상회담 결과 관련 소식을 주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지난 주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이후 실시한 양국 정상회담에서 향후 90일간 추가 관세 부과를 보류한 채 지식재산권 문제 등과 관련한 협상을 지속하기로 합의했다.

3개월의 협상으로 근본적인 해법 마련이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지만 주식시장은 우선 안도하는 상황으로 보인다.

투자자들은 내년 초 20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 인상과 그 밖에 품목으로 관세 대상 확대가 일단 보류됐다는 데 의미를 실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트윗을 통해 중국의 시진핑 주석과 합의가 매우 의미 있는 진전이라면서 정상회담으로 양국 관계가 크게 도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중국이 몇 가지 핵심 현안에 대한 양보를 약속했다”면서 "이런 논의가 양국의 진짜 합의로 이어질 것으로 매우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 협상 대표에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미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결정된 가운데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변화는 매우 빨리 일어날 수 있으며 중국과의 무역협상 진행에 대해 빠른 진전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의 반응은 회의적이다. 지적재산권과 IT 기술 유출 등 첨예한 갈등을 일으키는 비관세 부문의 쟁점을 불과 3개월 사이에 현실적으로 풀어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다.

경제학자들은 협상을 통한 돌파구 마련보다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전면적인 무역전쟁이 결국 재점화될 가능성이 있다는 의견이다.

크리스 웨스턴 리서치 페퍼스톤 헤드는 “중국 정책자들이 단기간의 협상을 통해 트럼프 행정부를 쥐락펴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모습이지만 이는 큰 오산”이라면서 “이날 주가 상승은 단순한 안도 랠리”라고 말했다.

자동차 관세 관련도 불안감이 줄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스티븐 므누신 재무장관이 중국의 수입차 관세 인하를 언급한 데 따른 반응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주요 자동차 기업 주가가 큰 폭 강세를 기록했다. 제너럴 모터스(GM)가 1% 상승했고, 포드도 2% 선에서 올랐다.

경제 지표는 부진했다. 10월 건설 지출이 전월 대비 0.1% 감소해 0.3% 상승할 것이라는 시장 전문가들의 예상이 빗나갔다.

11월 공급자관리협회(ISM)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9.3으로 지난달 57.7보다 상승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집계한 시장 전망 57.9보다 양호했다.

반면 IHS 마킷에 따르면 11월 미 제조업 PMI 확정치는 전월의 55.7에서 55.3으로 내렸다.

리처드 클라리다 연방준비제도 부의장은 현재 미국 경제 여건과 전망이 견조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우리가 정말로 주목하는 것은 3.7%의 실업률과 2% 부근의 물가 상황에서 경제가 이같이 좋은 상황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랜들 퀄스 미 연방준비제도 부의장은 "금리를 얼마나 더 인상할지는 명확하지 않다"면서 "중립금리는 범위이며, 결국 금리가 중립금리 범위 어디쯤 있을지는 향후 지표와 내년 경제 성과에 대한 평가에 달려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