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어마어마한 양의 정보가 쏟아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IDC은 전 세계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양이 오는 2020년 60제타바이트(ZB)에서 2025년 160ZB로 5년 새 2.6배가량 급증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렇다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정보의 양만큼 사람들도 똑똑해질까?

지난 2011년 8월, 당시 뜨거운 이슈였던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대한 TV토론회가 있었다. 방청객은 무상급식 찬성파와 반대파가 자리 잡았고, 100분간 전문가들의 토론이 진행되었다. 사회적인 갈등사안에 대해 서로 의견을 나누는 대표적인 소통의 공간 TV 토론, 과연 양측은 생각의 차이를 좁혔을까? 토론 후 방청객에게 생각의 변화가 있었는지 설문조사를 한 결과 ‘전혀 달라지지 않았다’가 60%(29명), ‘오히려 더 확고해졌다’가 37%(18명)로 나타났다. ‘약간 변했다’는 2.1%, 즉 1명만 답변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미국에서 8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민주당과 공화당을 지지하는 사람을 반반씩 두고 공화당 공략의 자료와 민주당 공략의 자료 두 가지를 나눠주었다. 자신의 평소 태도, 믿음 등에 부합하는 정보와 반하는 정보를 제공해 선택하도록 했다. 결과는 어땠을까? 공화당을 지지하는 사람은 공화당 자료만을, 민주당을 지지하는 사람은 민주당 자료만을 더 많이 보았다. 더구나 자기가 믿고 있는 정보를 택한 비율은 2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을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라고 한다. 확증편향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생각이나 신념을 기준으로 자기가 보고 싶은 것만 보는 보편적 심리를 말한다. 즉 자신의 견해와 일치하는 또는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정보는 쉽게 받아들이지만, 자신의 견해나 주장에 위배되는 정보는 무시하거나 자신의 의견에 맞게 왜곡해버리는 현상이다.

그럼 이 글의 처음 질문으로 돌아가 보자.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정보의 양만큼 사람들도 똑똑해질까? 역사를 통해서 지켜봐왔듯 기술진보와 더불어 인간의 지적 수준은 향상되나 정보를 받아들이는 확증편향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인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과 같은 첨단기술이 인터넷과 AI 스피커, 모바일과 융합되면서 손쉽게 자기와 맞는 정보만 흡수하고 결과적으로 대립과 반목이 강화될 것이다.

특히 21세기 첨단 기술의 발전과 함께 등장한 TV, 컴퓨터, 네트워킹, 모바일 환경은 독서량을 현저히 줄어들게 만들었고, 결국 문해력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적 근원적인 철학적 기반에 약해지는 현상과 직결되어 편향적 사고를 가져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더구나 블로그,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 SNS는 확증편향을 더욱 견고하게 만든다.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끼리만 유대감을 갖고 어울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자신의 이론을 확고하게 입증해주는 공간에 방문하고, 자신의 생각 또한 그곳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특성에 맞춰 전달한다. 그리고 자신의 의견과 반대되는 이야기는 게시판에 글을 올릴 수도 없게 차단한다. 그러면서 점점 더 같은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울타리 안에서만 생각하고 활동하게 되어 결국 확증편향을 더욱 강력하게 만들어준다.

그렇다면 확증편향에 빠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확증편향은 모든 ‘인지오류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 찰스 다윈은 확증편향에 굴복하지 않기 위한 의식적 노력들을 주요한 연구방법론으로 채택해 큰 업적을 남긴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관찰 결과들이 자신의 이론과 어긋날 때 오히려 더 주목했고, 자신의 생각이 옳다는 확신이 강해질수록 그와 모순되는 증거들을 더 적극적으로 찾아 나섰다고 한다. 무엇보다 ‘I may be wrong’, ‘나는 틀릴 수 있다’는 생각을 갖고 항상 불편한 진실과 마주하는 습관을 가져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