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죽음을 두려워할 필요 없는가> 정현채 지음, 비아북 펴냄.

우리는 태어나기가 무섭게 앞만 보고 달린다. 살기에 바빠 죽음을 생각할 겨를이 없다. 주변에서 가족이나 지인이 세상을 떠나는 충격적 사건을 겪고서야, 자신에 닥친 갑작스런 질병이나 사고로 생사의 경계선에 서보고서야 ‘사람은 죽는다’는 절대적 숙명을 절절히 깨닫는다. 하지만, 그때에도 사후세계가 있다는 종교 이외에 쉽게 접할 수 있는 죽음학이 없다는 사실에 놀라게 된다.

이 책의 저자는 서울대 의대 교수다. 사람을 살리는 일이 직업이다. 그가 죽음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부모와 친척의 죽음을 지켜본 2003년부터라고 한다. 그는 ‘내가 죽으면 어떻게 되나?’ 하는 불안감에 종교인이나 철학자의 관점이 아니라 과학자의 시각으로 죽음을 알려고 공부를 시작했다. 스위스의 죽음학자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사후생>, 미국 방사선 종양학과 전문의 제프리 롱의 <죽음, 그 후>, 의학 저널 <랜싯> 등에 게재된 근사체험 논문 등 수많은 과학적 연구 성과를 접했다.

그 결과 죽음은 사방이 꽉 막혀있는 벽이 아니라 다른 세계로 이동하는 문이라는 걸 확신하게 됐다. 죽음으로써 끝나는 게 아니라는 걸 안다면 자살하는 이들이 크게 줄 것이며, 말기 암 환자 등 죽음을 앞둔 이들도 존재가 소멸한다는 생각에서 오는 불안과 공포를 해소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즈음에서 저자의 각성이 남달랐다. 그는 의사로서 많은 사람이 죽음의 의미를 제대로 직면하고 사유하여 살아 있는 순간순간을 충실하게 살다가 존엄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겠다는 사명감을 느낀다. 그는 2007년부터 ‘죽음학’ 강의를 시작했다. 다양한 계층을 상대로 480여회의 강의를 소화해 ‘죽음학 전도사’라는 별명까지 얻었다. 한국죽음학회 이사로서 ‘한국인의 웰다잉 가이드라인’ 제정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2018년 초 갑작스럽게 암 진단을 받은 저자는 대중강연을 계속 하면서 자신의 죽음을 준비하고 있다. 연구실 비품이나 자료를 학교의 의학역사문화원에 기증하고 있다. 장기기증서약서와 유언장, 자신이 회복 불가능한 상태가 되면 기도삽관이나 연명의료를 하지 말라는 내용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쓰고, 자신의 장례식에 쓸 음악을 USB에 담아 두었다. 수의 대신 무명옷을 입히고 화장하여 바다에 뿌려 달라는 사전장례의향서도 만들어놓았다. 저자는 가능한 일찍 죽음을 직시하여 자신만의 죽음관을 가지라고 권유한다.

이 책은 죽음에 대한 모든 것을 모아놓고 있다. 입문서이자 총론서라 할 수 있다. 죽음에 대비한 지혜로운 지침서이기도 하다.

1장은 죽음에 이르는 다양한 질병과 사망 원인을 짚는다. 3장은 근사체험이 비과학적이라는 주장에 관한 반론이다. 4~6장은 삶의 종말체험과 죽음 이후의 세계에 관한 수많은 사례 연구와 다양한 측면의 고찰을 다룬다.

8·9장에선 죽음을 바라보는 한국 사회의 인식 변화를 촉구한다. 한국이 ‘죽음의 질(質)’ 측면에서 전 세계 40개국 가운데 32위로 바닥권이라는 대목은 눈길을 끈다. 갓 태어난 아기에 관해서는 충만한 관심과 사랑을 쏟으면서도, 죽음을 앞둔 사람에 대해서는 무관심으로 회피한다는 지적이다. 저자는 웰빙과 함께 웰다잉에 관해서도 가르쳐야 한다고 강조한다.

10장은 ‘안락사’에 관한 세계적 논쟁이 소개돼 있다. “짐승에 대해서는 안락사가 허용되는데, 무슨 이유로 인간은 안 되느냐”는 반문이 담겼다. 저자는 11장에서 자살을 비판한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빈곤과 고독, 만성질병으로 인한 노령 인구 자살률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개인보다는 사회적 죽음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비판이 쉽지 않은 이유다.

사후세계가 있는가? 이 책에도 소개된 해외 임사 체험 사례연구들을 보면, 영혼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예를 들면, 심정지 상태의 환자가 영혼 상태에서 자신을 둘러싼 의료진의 다급한 언행들을 지켜 보았다가 의식회복 후 모두 기억하여 의료진을 놀라게 한 사실들이 나온다.

뇌 활동이 멈추면 체계적인 의식 체험 가능성이 없어 기억이 백지상태여야 하는데도, 죽음 체험자들은 죽음에 머물렀던 당시의 체험을 생생하고 잘 체계화된 실제적인 기억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책 속 한 줄>

'인류의 평균수명은 1800년 무렵 20대 후반이었는데, 19세기 중반부터 폭발적으로 늘기 시작해 150년만에 80세가 되었다. 그 대가는 명백하다. 심장질환, 당뇨, 알츠하이머병 등 만성질환을 앓으며 무기력하게 목숨을 이어가는 햇수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중략) 이처럼 사망 전 무력한 상태로 지내는 시간을 '맛보기 죽음(pre-death)'이라고 부른다.'

'다윈 이후의 시대에는 새로운 생물학적 현상이 생겼다. 바로 적자생존이 아닌 '가장 부적격한 자의 생존'이다.'

'만성질환을 앓는 고령층 미국인 다섯 명 가운데 네 명 이상이 심폐소생술을 받을 경우 다시는 병원문을 나서지 못하고 사망한다. 겨우 2%가 6개월을 버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