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이성규 기자] 미 장단기 금리차가 축소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됐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 금리인상, 재무부의 단기국채 발행 등은 단기금리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미국의 경기확장세는 지속되고 있다. 다만, 미 경제를 지탱해 온 정책효과가 낮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미 장단기 금리 [출처:국제금융센터]

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10년물-2년물)는 지난해 말 52bp에서 지난 8월 19bp까지 축소됐다. 지난 10월 29bp로 재차 확대됐다. 그러나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 사이클 진행, 미 재무부의 단기국채 발행 증가 등을 감안하면 다시 축소될 여지가 있다.

장단기 금리차는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한 논란은 존재하나 1990년대 이후 3번의 장단기금리 역전 사례에서 모두 경기침체가 발생해 그 신뢰성을 무시할 수 없다.

재닛 옐런 전 Fed의장은 낮은 기간프리미엄으로 인해 수익률 곡선이 과거 대비 크게 축소돼 있다고 지적했다. 장단기금리차 역전에도 통화정책 긴축을 지속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기간프리미엄 추정 모델이 중립금리를 너무 높게 예측해 낮게 추산됐다는 반박도 존재한다.

경기확장세는 금융위기 후 지난 10월까지 112개월 연속 지속되고 있다. 역대 두 번째로 긴 회복국면이나 향후 정책효과 반감 등으로 성장이 둔화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미국 경기는 금융위기 이후 통화정책 완화 등 경기부양 정책에 힘입어 2009년 하반기 이후 회복국면이 지속됐다. 2016년 4분기부터는 잠재성장률을 웃돌고 있다.

다만, 최근 성장률 반등세가 트럼프 정부의 세금감면 등 재정부양 정책과 보호무역 등에 기인한 측면도 있다. 구축효과(crouding-outeffect) 등으로 정책영향이 감소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올해 3분기 미국의 성장률(3.5%)은 호조를 보였으나 대부분 재고투자 증가로부터 기인(기여도 2.07%포인트)한다. 미국산 제품에 대한 국내외 수요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의 최종판매는 1.4% 증가에 불과했다.

국제금융센터는 일부 선행지표들이 둔화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완만한 개선세가 유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고용은 실업자 감소로 유휴 노동자원이 소진되고 고용시장의 공급자 우위 구조가 형성되면서 임금이 반등했다. 낮은 경제활동참가율, 고용시장의 초과수요 등을 감안하면 고용시장 개선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투자는 최근 2년간 제조업 개선이 고용창출, 투자증대로 선순환했다. 그러나 향후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위축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제조업PMI 상승세가 정체되고 투자의 성장기여도도 감소했다. 선행지표도 반락했다.

▲ 설비투자 및 핵심 자본재 주문 [출처:국제금융센터]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장치산업의 투자가 줄고, 글로벌 경기 둔화로 기업들의 수익 감소가 이어지면서 생산과 투자 감소가 우려된다.

소비심리는 정체되고 있으나 저축률이 과거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등 소비모멘텀은 견조할 전망이다. 3분기 개인소비의 성장기여도는 2.69%포인트다. 고용시장 개선이 장기간 이어지는 가운데 자동차 판매 증가율은 2016년 3분기부터 소매판매 증가율을 밑돌고 있다. 저축률은 지난 9월 기준 6.2%로 20년래 가장 양호한 흐름을 이어가면서 소비여력을 뒷받침한다. 다만, 소비자심리 하부지수 중 소비자들의 미래(6개월)와 현재에 대한 평가 비율이 과거 금융위기 직전과 비슷한 수준에 도달하는 등 우려도 존재한다.

▲ 미 제조업 민감도 [출처:국제금융센터]

향후 회복국면의 지속여부는 Fed의 통화정책 정상화 속도, 미중 무역전쟁 경과, 정부 정책의 기업 영향 등에 좌우될 전망이다.

해외 투자은행(IB)들은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미국 경기는 여타국과 차별적 확장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생산성 개선은 더디지만 고용시장이 타이트닝되면서 임금상승압력이 높아지고 있다.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다.

반면, Fed의 통화정책 속도가 성장모멘텀을 둔화시키고 있다는 우려와 함께 통화정책 정상화를 지연시켜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Fed의 전망대로 금리인상을 진행하면 자동차 판매, 기업투자 둔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상승→재정부담 증가→국가부채 확대→성장제약’을 거론하며 Fed의 금리인상을 압박하고 있다.

미중 무역분쟁 등 통상마찰이 심화되면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도 부담이다. 3분기 중 수출이 7개 분기만에 감소 전환 되면서 순수출 성장기여도도 하락했다. Fed의 베이지북에 따르면 관세부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이 내년초부터 소비자에게 노출될 전망이다. 미 국채 발행 증가로 시장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달러화 강세가 이어지면 기업이익에도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내년 성장률이 잠재수준을 밑돌 가능성도 높아질 것을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