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김동규 기자] 스마트폰을 눈에서 떼지 않고 도로를 걸어다니는 사람을 일컫는 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인 ‘스몸비’라는 단어가 공식 등장한 지 벌써 3년이 지났다. 스마트폰을 하다가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도 뉴스에 단골손님처럼 등장하고 있다.

실제로 보험업계에 따르면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다가 보행사고가 나는 비율은 꾸준히 늘고 있다. 현대해상 고객사고 데이터베이스에 따르면 스마트폰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2013년 117건에서 2017년 177건으로 5년 새 1.5배가량 늘어났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의 조사에서도 2014년부터 2016년 사이 보행 중 주의분산에 의한 교통사고 중 휴대전화 사용으로 인한 사상자가 1105명으로 전체의 61.7%를 차지했다. 이 조사에서는 사상사 중 절반가량이 20대 이하여서 젊은 스몸비들의 피해가 컸다.

이처럼 스몸비 보행사고가 꾸준히 늘고 있지만 정부와 지자체가 관련 통계를 얼마나 제대로 파악하고, 스몸비 사고를 막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지는 의문이다. 물론 서울시를 비롯한 몇몇 지자체에서는 자체적으로 스마트 기기 사용으로 인한 사고를 줄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정부를 포함해 국회차원에서 본격 논의가 시작되지 않으면 스몸비 사고는 끊이지 않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 교통안전전문가는 “민간 보험회사에서 파악하는 스몸비 사례가 1년에 수백건 정도로 작게 나타고 있는데, 실제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교통사고는 이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면서 “어느 순간 스마트폰 사용으로 큰 사고가 난 후에 부랴부랴 대책을 마련하는 것보다는 정부나 국회서 현황을 정확히 파악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전문가는 이어 "스마트폰과 연관된 사고를 전담으로 담당하는 공무원도 현재 없거나 매우 적다는 것을 느꼈다"면서 "전문성 있는 공공부문 인력 충원도 필요하다"고 털어놨다.

한 사회에 새로운 기기나 기술이 들어오게 되면 그에 따른 명암은 반드시 나온다. 스마트폰 본격 보급된 지 근 10년이 지났다. 지금은 우리 삶의 한 부분이 된 스마트폰을 어떻게 사용해야 현명한 사용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한 다양한 관점의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그 출발은 정부와 지자체의 명확한 현황 파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