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칼럼에서는 제기동(祭基洞)에 대한 도시풍수 이야기를 하겠다. 제기동이라는 지역명은 祭基洞(제사 제 터 기) 즉 제사를 지내는 터라는 뜻이다. 왜 이러한 이름이 생기게 되었을까? 이유는 다음과 같다.

조선시대에 풍요로운 농사를 기원하기 위해 친경대, 즉 선농단을 만들어 왕이 친히 제사를 지내던 자리라는 것에서 유래했다. 그리고 조선시대부터 제기라는 지역명을 사용했다.

지금도 선농단이 존재하는데 서울유형문화재 15에 등록되어 있으며 서울 동대문구 제기2동에 있다. 선농단은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고 일컬어지는 고대 중국의 제왕인 신농씨와 후직씨에게 제사 지내던 곳이다. 선농의 기원은 기록에 의하면 멀리 신라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려시대에 이어 조선시대에도 태조 이래 역대 임금들은 이곳에서 풍년을 기원하며 선농제를 지냈다. 또한 제를 올린 뒤에는 선농단 바로 남쪽에 마련된 적전에서 왕이 친히 밭을 갈아 백성들에게 농사일이 소중함을 알리고 권농에 힘쓰기도 한 우리나라 전통 농경문화의 상징적 유적이다.

여기서 신농씨에 대해 조금 더 알아보자. 신농씨는 신화(神話) 시대의 황제다. <사기> ‘삼황본기(三皇本紀)’에 따르면, 사신인수(蛇身人首)의 황제인 여와(女媧)가 죽은 후 염제 신농씨가 황제가 되었다고 한다. 그의 어머니는 용의 영기(靈氣)를 느끼고 아이를 가져 신농씨를 낳았다고 한다.

섬서성의 강수(姜水) 부근에서 태어나 성장했기 때문에 그의 성은 강(姜)씨라고 한다.

주역을 농사와 의학에 이용해 발전시킨 인물로 역학계에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신화적 내용에 의해 한의학에서 음양오행이라는 기본 지식체계 창안자가 신농씨라는 말이 된다.

다시 돌아와 제기동은 신화 속에 존재하는 신농씨를 빌어 제를 올려 농경시대의 우리 역사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던 의미 있고 중요한 터였으며 문화적 유적까지 남아있는 가치 높은 곳이다.

이러한 신농씨의 영향 탓인지 현재 경동약령시장이 있으며 비록 신화 속의 인물이지만 그와 같은 일을 하던 사람들이 아직도 모여 생업에 종사하는 터가 되었다. 즉 제기동은 사람을 살리는 터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기동 터는 서울이라는 세련된 도시발전에 비해 낙후되어 가고 있다. 서양의학의 발달과 세련된 건물과 시설들에 밀려, 약재를 파는 재료시장의 모습을 넘지 못했으며 문화적인 가치를 지녔음에도 그러한 발달을 하지 못하고 있다.

제기동의 중심에는 정릉천이 흐르는데 동쪽으로 천장산이라는 산의 기운을 받았으며 좌측으로 개운산의 기운을 받았다. 한자로 開運山 열 개 운전할 운 자를 써 나라의 운명을 새롭게 열었다는 뜻이다. 이것은 개운사 절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개운사는 태조 5년(1396) 왕사 무학이 창건했고 이름을 영도사(永導寺)라 했다. 정조 3년(1779)에 원빈(元嬪) 홍씨가 세상을 떠나자, 그 부근에 묘소를 정하고 영명원(永明園)이라고 했는데 절이 원묘에서 가깝다 해 북쪽으로 옮겨 짓고 이름도 개운사로 고쳤다.

제기동은 문화적 가치가 높은 곳이기에 시장논리의 부동산 개발보다 문화적·역사적 가치에 기반을 두고 부동산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는 터이다. 사람을 살리는 터의 길은 너무 복잡하면 좋지 않다.

현재 제기동은 내부순환로와 고려대학교 그리고 청량리역을 접하고 있어 차량유입량이 많고 복잡하다. 당장 이를 한꺼번에 정리하기란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제기동이 가진 문화적인 가치에 기준해 터의 가치를 높이고자 한다면 현재 정신없이 사나운 간판이나 외관을 정리해 나아가는 것과 더불어 문화적 가치가 있는 곳의 브랜드화가 필요한 지역이라 생각한다. 음식도 사람을 살리는 중요한 것이니 보양식도 세계적으로 통할 수 있는 것으로 개발해 브랜드화한다면 가치가 더욱 올라갈 것이라 본다.

아무리 좋은 터라도 터의 입구와 내부가 깨끗하지 않으면 더 이상 좋은 터가 아니다.

역사적 가치와 사람을 살리는 터는 흔치 않다. 제기동의 가치가 다시 브랜드화되어야 할 시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