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단독주택 가격이 지난달보다 0.43% 오른 가운데, 서울지역 변동률은 0.76%를 기록했다. 출처=한국감정원.

[이코노믹리뷰=김진후 기자] 9.13 대책이 나오기 전 단독주택 가격이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지가치와 연동해 가격이 올랐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10월 첫째 주 아파트 매매가격은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됐다.

한국감정원이 9.13 대책 이전에 집계하고 1일 발표한 ‘2018년 9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9월 단독주택 가격은 0.43% 상승했다.

전국 단독주택 가격은 2017년 11월을 기준으로 달마다 약 0.2%씩 성장 기조를 보였다. 다만 9월 부동산 대책 이전을 기준으로, 단독주택 가격은 종부세 등 보유세 인상이 확실시되는 상황에도 평균치의 두 배에 이르는 0.43% 상승한 것이다.

이에 대해 이동환 주택통계부장은 “서울 지역에 여의도·용산 개발 사업 발언이 나왔고, 도로나 교통 호재가 이어졌다”면서 “각 구별로 아파트 가격과 함께 토지 가격이 올라 단독주택 가격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수도권 단독주택 매매가격지수는 지난해 11월을 기준지수 100으로 두었을 때 매달 0.2~0.3씩 올라왔다. 반면 이동환 부장의 분석을 증명하듯 ‘용산-여의도 개발’ 발언이 나온 7월 102.3에서 8월 사이 102.7로 상승폭이 0.4 정도 뛰었다. 또한 급등 흐름을 타고 8월 102.7에서 9월 103.3으로 상승폭이 약 0.6 까지 늘어났다.

서울은 강북권역과 강남권역 지수가 모두 0.6씩 올랐고, 도심권은 0.9까지 올라 지수 상승률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지역 역시 비슷한 보폭을 보였다.

토지가격 통계는 아직 집계되지 않았지만, 수도권 토지가격 변동률은 7월 0.456%에서 8월 0.494%로 오르는 등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 역시 같은 기간 0.563%에서 0.613%로 상승했지만, 주택 가격 급등과 비교해 크게 영향 받지는 않은 분위기다.

서울 중구 S공인중개사는 "서울은 주택 가격이 떨어지지 않는다는 기대감이 지탱하고 있다"면서 "언젠가 오를 것을 기대한 사람들이 단독주택을 사두려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단독주택을 찾는 사람은 당장 수익성이 없더라도 주택을 사서 재건축이나 증축 등 훗날 시세차익을 노리기도 한다"고 말했다.

고급 단독주택이 밀집한 일산 동구의 K공인중개사는 "똑같이 '집'으로 묶이더라도 아파트 30평은 콘크리트 30평인데 반해, 단독주택은 대지가 30평이다"라면서 "단독주택은 꾸준히 가격이 오르기 때문에, 일시에 오르는 가격보다는 가치를 보고 사는 경향이 짙다"고 설명했다.

지방 토지가격 변동률은 올해 2월 0.279%에서 3월 0.332%로 반등한 후 하락을 지속하고 있다. 지난 8월의 변동률은 0.295%까지 고꾸라졌다.

반면 수도권 단독주택 전세가는 기준시점(2017년 11월) 100에서 올해 0.1 상승한 후 9월까지 그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전국 단독주택 전세가는 2월 0.1 오른 채 5월까지 유지하다가 6월부터 다시 100으로 복귀했다.

수도권 단독주택 월세는 7월 99.9로 줄은 후 9월까지 같은 지수를 보이고 있다. 반면 전국 단독주택 월세는 4월 99.9로 떨어진 후, 7월 99.8, 9월 99.7을 기록하는 등 하락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매매가가 반등한 7~9월까지 지방과 5대 광역시의 낙폭이 두드러져 전국 월세 가격의 하락을 이끈 것으로 해석된다.

9.13 약발? 전국 아파트 가격 보합세...전세는 하락

한편 추석이 지난 10월 첫째 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보합세로 나타났다. 추석이 지나면서 본격 이사철이 다가왔지만 매수 문의가 끊기자 주택 소유자들이 가격 상승을 멈춘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감정원이 5일 발표한 ‘2018년 10월 1주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전국의 매매가격은 0.00%로 보합세를 보였고, 전세가격은 0.02% 하락했다.

▲ 10월 첫째 주 전국 주택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변동 추이. 출처=한국감정원.

서울 지역 변동률은 0.10%에서 0.01% 하락한 0.09%를 기록했다. 수도권은 0.07%에서 0.04%로 상승률이 하락했다.

서울 지역은 9.13 대책 이후로 매도자와 매수자 모두 일제히 관망세로 돌아섰다. 그 가운데 그동안 낮은 상승폭을 보인 외곽지역이 소폭 상승해 서울 전체 상승폭은 지난주보다 소폭 줄었다.

강북지역 14개구의 상승폭은 0.12%를 보였다. 개발·교통호재가 예상된 지역이나 저평가를 받아온 지역은 일부 상승했지만, 대부분 관망세가 계속됐다.

강남지역 11개구 상승률은 0.08%에서 0.06%로 줄어들어, 강북지역보다 상승률이 덜 했다. 매수문의가 뜸해지면서 거래가 한산해진 영향으로 강남·서초·송파구의 상승폭이 축소됐다. 동작구는 상승세에서 보합으로 전환됐다.

경기지역 역시 상승폭이 0.07%에서 0.02%로 축소됐다. 부천 지역 상동, 중동 일대의 수요가 증가해 0.16% 올랐고, 평택은 입주물량 증가와 미분양물량이 쌓이면서 지난주보다 더 하락한 –0.38%를 보였다.

인천은 0.00%에서 –0.02%로 하락을 보인 가운데, 미추홀구는 0.05%, 남동구는 0.03% 상승했다.

지방은 하락폭이 축소해 –0.04%에서 0.03%로 회복을 보였지만, 8개도는 –0.09%에서 –0.11%로 하락했다. 세종시는 –0.05%에서 0.00%로 보합세를 유지한 반면, 5대 광역시는 0.01%에서 0.05%로 상승했다.

특히 광주지역은 상승폭이 0.38%로 확대됐는데, 7개월 동안 5억원이 오른 남구 봉선동 주변의 저평가된 아파트가 상승세를 이끌었다. 광주 남구는 0.84% 올랐고, 광산구 역시 상승세가 주변으로 확산되면서 0.60% 상승을 기록했다.

▲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서울이 0.09%로 단연 높았다. 출처=한국감정원.

이동환 한국감정원 주택통계부장은 “두 차례의 대책으로 서울지역 상승세가 줄어들면서 경기도에도 여파를 미친 것으로 분석한다”면서 “또한 신도시 개발 등 새로운 공급이 예고되면서 매도·매수가 굳은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전세가격은 전국에서 지난주 하락폭인 –0.02%를 유지했다. 서울 상승폭은 0.05%에서 0.03%로 축소된 가운데, 수도권은 0.01% 상승률을, 지방은 –0.05% 하락률을 유지했다. 8개도 역시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8%의 하락률을 보였다.

서울 강북지역은 가을 이사철의 영향으로 직주근접의 수요가 높은 중구, 마포구가 각각 0.12%, 0.11% 올랐다. 강남지역 서초구와 동작구는 신반포3차 등 정비사업 이주 수요 일부가 마무리됐지만, 신규입주물량이 증가로 각각 –0.09%, -0.01%를 기록해 하락 전환됐다.

부동산 가격 설문조사 ‘그래도 오를 것’ 우세

급등한 수도권 집값이 보합세를 보이는 가운데 한국갤럽은 부동산 정책과 집값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5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9.13 대책 발표 전 한 차례에 이어, 9.21 부동산 대책이 발표된 이후인 10월 초 두 차례에 걸쳐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 9.13과 9.21 대책 발표를 전후로 향후 1년간 집값 등락을 설문조사한 결과 '오를 것'으로 전망한 비중이 43%를 기록했다. 출처=한국갤럽.

조사 대상자 가운데 향후 1년간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측한 이는 43%를 기록했다. 지난 7월 ‘오를 것’을 선택한 비중은 29%에 불과했지만, 9.13 대책 발표 직전 50%로 폭등했고 9.21 대책이 발표된 이후인 10월 초 현재 43%로 차차 낮아지고 있다.

반면 집값이 ‘내릴 것’으로 내다본 대상자는 21%, ‘변화가 없을 것’으로 예측한 대상자는 22%를 차지했다. ‘내릴 것’이란 전망 역시 9.13 대책 직전보다 2% 오른 수치다.

집값이 ‘오를 것’이란 응답은 서울·경기·전라 지역에서 40% 후반을 보였고, 충청·경북 지역은 40%대 초반, 경남권은 21%를 기록했다. 특히 정부 대책이 서울 집값 폭등을 겨냥해 이뤄진 만큼, 서울시 거주자의 집값 상승 전망이 9.13 발표 전 67%에서 9.21 발표 후 48%로 가장 큰 폭으로 바뀌었다.

여전히 집값이 ‘오를 것’으로 예측한 비중이 ‘내릴 것’이란 전망보다 우세하다. ‘오를 것’에서 ‘내릴 것’을 뺀 격차인 ‘순(純) 지수’를 놓고 보면, 낮은 연령대와 무주택자들이 큰 격차 점수를 보였다. ‘오를 것’으로 전망한 비중이 높거나 ‘내릴 것’으로 예측한 비중이 낮다고 해석할 수 있다. 순지수는 20대 53, 30대 35, 40대 17, 50대 이상은 8을 기록했다. 또한 무주택자의 순지수는 34인데 반해 1주택자는 16, 다주택자는 5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순지수를 9월 대책 발표 직전과 비교하면, 무주택자(39→34)보다 1주택자(27→16), 다주택자(21→5)로 갈수록 변화폭이 크다.

한국갤럽은 주택 거래 유경험자들은 자신의 상황에 견줘 정책에 반응하는 면이 있지만, 무주택 젊은 층은 정책 변화를 체감하기 어렵고 고공상증 중인 집값을 부담스러운 장벽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반면 수도권과 지방의 주택 가격 양극화를 증명하듯, 부산·울산·경남 지역은 10월 조사에서 ‘내릴 것’이라 응답한 비중이 ‘오를 것’에 비해 18% 정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