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믹리뷰=최진홍 기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통계청의 최근 해명자료 사건이 화제입니다. 스타강사 최진기 씨가 지난 10일 유튜브에 '생존경제 36회:가계동향조사 무엇이 문제인가?'를 업로드하며 통계청이 발표한 조사를 두고 "국가기관이 발표할 수 없는 통계"라고 날을 세우자, 통계청이 이례적으로 18일 해명자료를 냈기 때문입니다.

 

최진기 씨에 대한 대중의 호불호가 명확한 가운데, 통계청이 어쩌면 민간인의 주장으로 치부할 수 있을 사안에 발 빠른 해명자료를 낸 장면이 눈길을 끕니다. 통계청은 '저소득층이 줄고 소득분배가 악화됐다는 통계청의 최근 가계동향조사는 잘못된 모집단에 근거했다'는 최 씨의 주장에 "사실이 아니다"면서 조목조목 반박했습니다.

통계청은 왜 최 씨의 주장에 공식 해명자료까지 냈을까요. 일반적으로 정부 기관의 해명자료는 주로 언론 보도의 내용을 반박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통계청은 "내부에서도 많은 논의가 있었다"면서도 "신뢰성을 훼 손하는 문제가 있고 많은 분들이 동영상을 시청했기에 담당과로서 이해를 돕도록 하는 게 올바른 도리라고 생각했다"고 말했습니다.

다양한 시사점이 있습니다. 통계청과 최 씨의 주장 중 누구의 주장이 맞는지에 대한 논란은 차치하고, 이 현상만 두고 보면 흥미로운 관전 포인트가 많습니다. 특히 '언로'의 다양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해지고 규격화 된 콘텐츠 제작자가 여론을 주도하는 것이 아닌, 이제 민간인도 자기의 뚜렷한 주장과 의견이 있다면 강력한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시대라는 점이 증명됐습니다.

우리는 1인 크리에이터의 등장과 MCN 시장의 확장, 지금 이 순간에도 개인 미디어 플랫폼 발전을 이끌어 내는 ICT 기술의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전문 콘텐츠 제작자의 특권, 콘텐츠를 제작해 여론을 주도하던 언론사와 같은 특정계층의 무기가 약해지고 있다는 점도 시사합니다.

▲ 최진기 씨가 운영하는 생존경제 포스터. 출처=갈무리

이러한 현상에 문제도 있습니다. 검증되지 않은 무분별한 콘텐츠 제작은 곧 가짜뉴스와 같은 사회적 흉기로 거듭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유튜브에 범람하고 있는 극단적이고 파괴적인 콘텐츠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 전문 콘텐츠 제작자의 특권이 사라지고 다양성이 존중되는 시대가 열리고 있지만, 우리가 끝까지 '균형의 묘'를 살려야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콘텐츠 다양성의 시대, 국가는 일단 규제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최근 논의되고 있는 통합 방송법에 MCN을 추가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콘텐츠 제작자와 소비자의 간격이 줄어드는 한편 우리는 SNS의 시대를 넘어 분산형 플랫폼인 블록체인의 시대까지 달려왔습니다.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으니 잡음은 길어지겠지만, 새로운 제3의 길을 찾으려는 시도는 계속 되어야 합니다. 어쩌면 콘텐츠 무법의 시대를 맞아 진정한 콘텐츠 제작자의 특권이 오히려 강화될 수 있는 의외의 상황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겠군요. 이건 의식있는 언론사, 혹은 콘텐츠 제작자에게 또 다른 기회를 의미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