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semble 16-23, 163×129㎝, Korean Traditional paper, Natural dyes, 2016

Park Chul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anji artists. He has been focusing on hanji’s abundant formal potential, a topic that he has devoted himself to expressing for about 30 years. He created works with ink on cotton cloth and Korean rice paper since the late 1970s, when he began his career as an artist, and those works would be further developed in his future experiments with hanji.

서양화가 박철은 대표적인 한지작가 중 한 사람이다. 일찍이 한지의 풍부한 조형적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의 표출을 위해 정진해 왔다. 그 이력이 무려 30여 년에 이른다. 화단 활동을 시작한 1970년대 후반부터 박철은 광목과 화선지를 이용, 먹 작업을 하면서 장차 나타나게 될 한지(KOREA PAPER)에 대한 실험을 전개했다.

▲ 2018년 성남큐브미술관 전시 세미나 장면. 왼쪽부터 연극연출가 김정옥, 성남큐브미술관 전시부장 박천남, 박철 화백, 조각가 김영원, 평론가 윤진섭

Park Chul began to explore the material properties of hanji in earnest by the late 1980s. During this period, the artist focused on hanji’s plasticity, which renders it suitable for casting techniques that are used to mold materials in the same shape as a particular object.

박철(박철 화백,朴哲,박철 작가,한지작가 박철)에게 있어서 한지가 본격적인 물성 탐구의 대상으로 전개된 시기는 1980년대 후반에 들어서이다. 이 시기에 그가 주목한 것은 사물을 있는 그대로 떠내는 캐스팅 기법에 적합한 한지의 가소적(可塑的) 성질이었다.

Long ago, he had already shown a deep interest in objects scattered in an area scheduled for flooding due to the construction of Andong Dam, such as round straw mats, straw mats, roof-end tiles, and doors. Later, he expressed the strong impression that he received at that time by casing works in hanji.

그는 오래전에 안동댐 수몰 예정 지구에서 본, 폐가의 여기저기에 나뒹굴고 있는 맷방석, 멍석, 와당, 문짝 등등의 사물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그는 이때 받은 깊은 인상을 훗날 한지(KOREAN PAPER)를 통해 표현했는데, 이것이 바로 한지캐스팅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