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7년 청남대 재즈토닉 페스티벌

It is certain that his works share a common denominator with monochrome paintings, which have received significant attention recently, yet there is a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just as the difference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Park is, however, an artist who has been influenced by modernism, thus being categorized as a modernist artist.

요즘 뜨겁게 주목받고 있는 단색화와 계를 같이 하는 부분이 분명히 있지만, 회화와 조각의 차이처럼 근본적인 상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는(한지작가 박철, 한지부조회화 박철) 분명 모더니즘에 영향을 받은 작가이며 모더니즘 계열의 작가로 분류하고 있다.

On the opposite side of Greenberg’s modernism, which stresses surface characteristics and the medium while highlighting the autonomy and purity of art, Park Chul places the image of a straw mat at the forefront to experiment with the various meanings of the image, which is far from being post-image.

그렇다고 미술의 자율성이나 순수성을 내세우며 매체와 평면성을 강조하는 그린버그식의 모더니즘과는 반대편에서 탈 이미지는 고사하고 멍석이라는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워 그 이미지가 지니고 있는 다양한 의미들을 실험하고 있다.

▲ 2018년 성남큐브미술관

There are some pieces that might be interpreted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or some that can be understood as metaphorical symbols, yet the artist may be working on creating a metonymic landscape that evokes the emotions and sentiments of our bygone past lives, through the theme of straw mats.

때로는 현상학적인 측면에서 해석할 수 있는 작품들과 때로는 은유적 상징물로 접근할 수 있는 작품들도 엿보이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멍석이란 주제를 단초로 하여 사라져가는 우리 옛 삶 속에 묻어있는 감정과 정서를 불려내는 환유적 풍경(換喩的 風景)을 만들어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He might be unveiling a venue for communication and sympathy, full of folksy sentiments and emotions in that metonymic landscape where tradition and modern is in harmony. Where will Park Chul’s art ultimately arrive at? This is something that I would like to wait and observe for a long, long time.

그 환유적 풍경 속에 전통과 현대가 어울려 서민적인 情感이 넘치는 소통과 공감의 장을 펼쳐 보이고 있지는 않은지? 그리고 박철(서양화가 박철, 박철 화백, 朴哲, 박철 작가) 작품의 궁극적으로 도달할 지점은 어디일까? 오래도록 지켜보고 싶다.

△Kim Young-won (Professor of College of Fine Arts at Hongik University/ Sculptor)/김영원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조각가)